매 듭 법
자일을 매는 법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나 그 중에서 쉽고 간편한 것을 선택 해서 몇가지만 익혀 컴컴한 어둠속에서도 자일을 맬줄 알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자일을 한겹으로 맬때는 허리에 매야하고, 두겹으로 맬때는 한가닥 은 허리에 두르고 다른 한가닥은 어깨에서 허리로 가도록 매야한다. 매듭은 경우에 따라 앞,뒤,옆으로 묶기도 하는데 선등자는 등뒤에 중간자는 옆 으로 후등자는 앞으로 매는 것이 보통이다. 자일을 맬때는 생명과 관계되는 중요한 것이므로 결코 짧고 쉬운 코오스라해서 적당히 형식적으로 매지말고 정확하고 자신있게 매야하며, 매듭후에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다.
매듭의 일반적인 호칭
매듭(knot) : 일반적인 매듭의 호칭
BEND : 두개의 로프를 서로 함께 겹쳐 묶었을 때
NOOSE : 로프에 매듭을 지어 만든 고리가 조여지거나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경우
LOOP : 매듭을 만든 고리가 고정되어 조여지지 않는 상태
HITCH : 축이나 로프에 돌려감아 얽어맨 상태
기본매듭
막매듭 (Overhand Knot)
고를 내지 않고 마구 맨 것. 가장 간단한 매듭이며 다른 매듭을 한뒤 풀리지 않게 하는 데에 쓰인다. 옭매듭이라고도 한다.
등반매듭
보울라인 매듭 (The bowline knot)
이 매듭은 고리의 조절이 쉽고 조여들지 않는 특징으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위험지역을 지나는 경우 자일을 직접 몸에 묶을때 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쉽게 느슨해지는 단점이 있다. 주자일을 안전벨트에 묶을때 이 매듭을 쓰는 이들이 있으나 8자 되감기 매듭이 더 안전하다. 로프 끝부분으로 몸을 묶게 될때 흔히 쓰인다 그리고 하네스에 자일을 연결 할때도 사용한다. 따라서 선등자나 후등자가 이매듭으로 몸을 매는데, 매고 난뒤 로프의끝부분을 옭매듭해서 마무리 하는 것을 잊었어는 안된다.
2중 보울라인 매듭 (Double bowline knot)
자일 파티에서 중간자가 자기 몸을 로프로 매는 방법 중의 하나, 로프의 중간 부분을 이용해서 보울라인 매듭을 하게 되므로 자연히 로프가 두겹이 되고 , 매고 난뒤, 끝부분에 고 리가 생긴다. 이고리를 알맞게 뽑아서 어깨에 걸면 더욱 안정감이 있다.
휘러 매듭 (Fuhrer knot)
선등자, 후등자, 중간자 모두 쓸수 있다. 선등자, 후등자가 이 매듭을 했을 때는 매고 난 뒤에 생기는 로프 끝 부분을 옭매듭 하여 마무리 하고 중간자인 경우 매고 난 뒤에 생기는 고리를 알맞은 길이로 뽑아 어깨에 건다. 힘을 받으면 매듭이 계속 조이므로 풀기가 힘들다.
까베스똥 매듭 (Clove hitch knot)
|
|
이 매듭은 확보점에 로프를 고정시킬때, 후등자 확보시, 짐을 올릴때 등 이용범위가 넓고 조작도 간단하다. 또 자기확보줄이 거추장스러워 안전벨트에 연결된 주자일로 직접 자기확보를 할때 사용되기도 한다. 이 매듭은 양쪽 중 어느쪽 줄을 잡아당겨도 반대쪽 줄이 딸려오지 않는다. 등반 도중에 사용되기도 하므로 한손으로 할수도 있도록 숙달시켜야 한다.
- 왼쪽 그림은 암벽등반 도중, 퀵드로우나 돌출된 바위 등에 자일을 걸어 확보를 하는 경우의 그림이고, (캐러비너에 한손으로 걸수 있도록 연구해 보세요!)
- 오른쪽 그림은 튼튼한 나무기둥에 확보한 경우의 그림이다.
반까베스똥 매듭 (Half Clove hitch knot)
|
|
까베스똥이나 반까베스똥 매듭법의 원리는, 우선 하나의 자일로 두개의 고리를 만드는 것이다. 이때 양쪽 자일의 방향이 서로 어긋나 있어야 한다. (윗 그림을 유심히 보세요) 그 다음은 이 두 고리를 하나의 고리로 합치는 것인데, 마치 창문을 열듯 서로 겹쳐지게 하면 까베스똥 매듭이, 책갈피를 닫듯 서로 겹쳐지게 하면 반까베스똥 매듭이 되는데 실제로 해봐야 이해가 빠릅니다. |
이 매듭은 선등자나 후등자 확보시에 사용하며, 적은 힘으로도 제동이 잘되는 것이 장점이다. 이중로프(두가닥) 사용시에는 사용할 수 없다. 이탈리언 프락션 히치 매듭이라고도 함.
안전벨트에 맬때
에반스 매듭 (Evans knot)
선등자나 후등자가 사용한다. 여러번 휘감아서 매듭을 크게 내도 로프의 끝을 당기면 간단히 조여지고 또 물에 젖어도 쉽게 풀린다. 에반스 매듭은 절대로 몸에 직접 묶는데 이용해서는 안된다. 힘이 가해지면 묶은데가 조여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무리의 옭매듭을 반드시 에반스 매듭과 밀착 시켜야 한다.
8자 매듭 (Figure-eight knot)
8자 매듭 기본형 |
8자 고리 매듭 |
8자 되감기 매듭 |
로프의 어느 부분으로도 고리를 낼 수 있는 것이 8자 매듭이다. 매듭진 데가 단단하면서 풀기도 쉽다. 분명히 8자 모양이 나오도록 두번 꼬아야 하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 8자 고리 매듭은 자일의 원하는 부분에 고리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데, 자일을 겹쳐서 사용한다. 이 고리에 카라비너를 걸면 활용도가 무지 많아진다.
- 8자 되감기 매듭은 주자일을 안전벨트에 직접 맬때 (카라비너없이) 사용한다. 우선 자일 한겹으로 8자매듭을 만든후, 자일의 붉은 부분을 그림처럼 되따라 들어가면, 8자 고리 매듭과 완전히 동일해 지는데..., 물론 되따라 들어가기 전에 안전벨트의 고리속을 통과해야 겠지요!
- 8자 연결 매듭은 두개의 짧은 자일을 연결하여 하나의 긴 자일로 만들때 사용한다. 먼저 A 자일의 한쪽 끝부분에 한가닥의 8자 매듭을 느슨하게 만든다. 그다음 B 자일의 한 끝으로 "되따라 들어가기"를 한다. 이렇게 하면 두 자일이 서로 물고 물리면서 안전하게 하나의 자일로 연결된다. 주로 하강용 자일을 만들때 사용하는데, 8자 매듭의 장점을 유감없이 보여주는 매듭이다.
나비 매듭 (Butterfly knot)
이 매듭은 오므라들거나 움직이는 경향은 없으 나 몸에 직접 감는 경우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안전벨트와 연결하거나 고정 로프 중간의 고정용 매듭으로 사용한다.
로프를 이을 때
핏셔맨 매듭 (Fisherman's knot)
어부들의 낚시 매듭에 많이 사용하는 매듭 이다. 굵기가 다른 로프를 이을 때도 쓸 수 있는데 풀기가 좀 까다롭다. 옭매 듭으로 마무리 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2중 핏셔맨 매듭 (Double fisherman's knot)
슬링을 만들거나 로프를 이을때 많이 쓴다. 핏셔맨 매듭보다 매듭이 단단하고 쉽사리 느슨해지지 않는다. 포도 넝쿨 매듭(grapetine knot)이라고도 부른다.
스퀘어 매듭 (square knot)
낚시 매듭과 같이 로프를 이을 때 쓰는데 다만 로프의 굵기나 재질이 같아야 효과가 있다. 하중이 걸리면 비교적 풀리기 쉬우므로 반 드시 마무리 매듭을 해야 한다. Reek knot라고도 불림
터벅 매듭 (Tarbuck knot)
고리(loop) 안쪽으로 서너번 돌려서 LOOP 바깥쪽 자일에 막매듭 한것으로 프루지크 매듭과 같은 역할을 한다. 자기 확보줄을 만들때 한쪽은 8자 매듭으로 하고 다른 쪽은 이매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SHEET BEND
매듭의 상태는 대체로 양호하나 실제 등반시는 2중 SHEET BEND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테이프 매듭 (Tape knot)
테이프와 테이프를 이을 때에 쓴다. 이 매듭은 곧잘 느슨해지므로 묶고 나서 힘껏 잡아 당기고 또 가끔 살펴야 한다.
특수한 용도의 매듭
프루직 매듭 (Prusik knot)
프루직 매듭 |
클렘하이스트 매듭 |
카라비너 프루직 매듭 |
수직으로 늘어진 로프에 그보다 가느다란 슬링 (프루직 루프)을 2중 또는 3중으로 감고 밑으로 잡아당기면 감긴 매듭이 수직 로프에 꽉 물려서 흘러내리지 않고 반대로 힘을 빼면 매듭이 느슨해져 감긴 슬링을 위 아래로 이동 시킬수 있다. 그래서 크레바스나 구조시 용이 하게 쓰 인다. 슬링을 돌려 감을 때 줄이 겹치지 않고 가지런히 서도록 해야 한다. 추락 했을 때의 탈출이나 무거운 짐을 올려 나르거나 할 때 쓰인다. 슬링의 굵기는 주 로프 굵기의 절반 정도가 제일 효과적이다. 주로 11mm 주자일에는 6mm를 사용 하고 10mm 주자일에는 5mm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 클렘하이스트 매듭은 한손으로 조작하기가 어렵긴 하나 감는 횟수에 따라 다양한 마찰을 줄 수 있고, 하중이 걸린 후 프루직 매듭보다 풀기가 쉽다.
- 프루지킹(로프상승) 주 자일에 프루직 매듭을 두개 걸고 (위쪽 매듭은 안전벨트에 연결하고, 아래쪽 매듭은 발디딤 고리로 사용) 큰 나무에서 연습하면서 여러모로 연구해 보세요!
기타
지레 매듭
|
이 매듭은 등반용 매듭법은 아니지만, 알아두면 야외활동에서 매우 재미있는 매듭법이기에 소개합니다. |
매듭법 관련 SITE
Caving Knots
Roper's Knot Links
Ropers Knots Page
http://ireland.iol.ie/~daveh/knots.html
'암벽 릿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선사가 보이는군요 (0) | 2008.06.16 |
---|---|
백두산 (0) | 2008.05.30 |
⊙ 8자 매듭 (0) | 2008.05.30 |
북한산 지도2 (0) | 2008.05.30 |
북한산 12성문 종주지도&북한산 전체지도 (0) | 2008.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