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벽 릿지

안전벨트

선릉교회 2008. 6. 27. 22:38

안전벨트


① 안전벨트의 종류
* 하단벨트 (Seat Harnesses) :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안전벨트
* 스와미 벨트 (swami belts) : 다리고리와 허리벨트가 분리된 형태
* 상하단벨트(Body Harnesses) : UIAA에서 인정하는 유일한 형태

보울라인 묶기 : 이 방법은 안전벨트가 없던 시절에 사용한 방법으로 추락시 몸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쉽고 짧은 구간을 신속하게 통과할때, 간혹 사용될 수 있다.




웨빙으로 간이 안전벨트 만들기




웨빙으로 상하단 벨트 만들기


② 안전벨트 선택

* 일반용 : 장기간 사용하여도 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튼튼하게 만들어져 있으며, 허리벨트와 다리고리가 두껍고 장시간 매달려도 편하도록 스폰지 패드가 보강되어 있다.

* 빙/설벽용 : 허리벨트에 스폰지가 들어가지 않은 제품으로 눈이나 물이 베 어들어 얼어붙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고산등반이나 동계등반시 안전벨트 를 착용한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등산화나 아이젠 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손쉽게 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 프리클라이밍용 : 가볍고 부피가 작아 착용감이 산뜻하고 몸을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지만, 장기간사용시 불편하고 강도나 내구성이 떨어진다.

a. 상하단 벨트
b. 일반용 한단벨트
c. 동계용 한단벨트


* 선택시 유의사항
- 구조가 필요이상 복잡하지는 않은가?
- 사용한 웨빙의 재질은 약한 것이 아닌가?
- 허리와 허벅지등 체중이 걸리는 부분이 부드럽게 처리되어 있는가?
- 재봉상태는 큰 충격을 견딜 만한 것인가?
- 허리벨트를 조여 주는 버클이나 장식들이 조악하지 않고 완전한가?

③ 안전벨트의 사용과 관리
* 몸에 잘 맞도록 착용할 것.(허리부분을 골반뼈보다 작게 조여 착용)
* 버클에 웨빙이 한번만 통과됐을 때는 300kg정도의 충격에도 빠져 버릴 수 있으므로 반드시 반대방향으로
한번 더 통과시켜서 사용해야 하고 통과시킨 후의 웨빙끝은 최소한 5cm이상 여분이 있어야 한다.
* 안전벨트에 로프를 묶을 때는 다리고리와 허리벨트를 같이 묶어 줘야 한다.
* 5년정도 사용한 것이나 바느질부분이 낡은 것은 폐기하고, 자주 세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