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벽 릿지

고산등반 이란

선릉교회 2008. 7. 10. 23:13

고산등반 이란

고산등반”이란 표고가 높은 산을 오르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보통 6,000-8,000m대의 고산에서 행하는 등반을 고산등반이라고 하고 있으나, 표고만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라 3,000-4,000m대의 대상지라 할지라도 기상이나 지리적 조건에 따라 고산등반으로 인정하자는 견해도 있습니다. 고산등반의 대상지는 전세계적으로 히말라야, 안데스, 파미르, 천산산맥, 알래스카 등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고산등반에는 고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기압이 감소하고 산소가 희박해져 고소순응이라는 특별한 등반절차가 필요하게 됩니다. 고소순응이란 등반자가 경험하지 못한 고도에 이른 후 일단 낮은 고도로 내려와서 다시 오를 때 조금 더 오르는 식으로 등하산을 반복하면서 서서히 고도를 높이며 순응해 가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은 낮은 곳에서 정상적인 기능을 해온 전반적인 생리기능이 고소에 오르면 산소부족으로 여러가지 장애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 기능을 본래의 기능으로 회복되기를 기다리며 등반하는 것을 말합니다.

고소등반에는 베이스캠프를 설치한 후 고도를 높여가며 물자를 지원받고 전진캠프를 설치해 가면서 등반하는, 막대한 물량과 인원이 투입되는 극지법 등반방식과 베이스캠프에서 정상까지 중간 고정캠프 없이 정상을 오르는 알파인 방식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극지법 형식의 등반이 많이 이루어 졌으나 근래에는 소규모 팀원만을 구성하여 알파인 스타일하는 등반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습니다.

고산등반에는 특별한 도구와 기술이 필요하게 됩니다만 ,정상에 도달한 때의 감동과 만족감은 그 어떤것도 대신하기 어려울 것 입니다.대부분의 산의 정상은 눈에 덮히고 춥고,바람도 심하게 불고 있기때문에 고도의 등반기술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고산등반은 전문가에 의한 지도가 반드시 필요합니다.고산등반을 원하시는 분들은 신뢰할 수 있는 고산등반 전문 투어 가이드나 등산 스쿨에 등록하여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적인 고산등반 장비
표고가 높은 장소에서의 등반은 날씨에 의해 크게 좌우됩니다.상당히 엄격한 환경 조건을 강요받는 고산등반,특별한 장비를 필요로 하는 것은 당연합니다.정상에 도전에 필요한 장비나 의류는 등반대상지나 루트,날씨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고산등반에 필요한 기본적인 장비.

기본적인 장비
아이스 엑스
등반로프
안전벨트
헬멧
카라비너
등반장비
고산등반용 신발
아이젠

의류
고기능성 자켓
우모복(다운파카,다운팬츠)
고소내의
장갑,벙어리장갑
발라클라바,고소모자
기능성 양말
스페츠(슈퍼게이터)
고산등반용 선그라스

등반의 훈련
고산등반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준비하는 방법은 경험 풍부한 고산등반가 나 전문가이드의 충고가 반드시 필요합니다.등산의 노하우를 숙지한 엄격한 인스트럭터의 지도나 전문가 에게 기본적인 고산등반 방법을 배우는 것을 권장합니다.또 실질적으로 훈련을 하고,등산의 책이나 비디오를 보고 연구하거나 ,실내 등산 월에서 연습한 것도 좋은 방법일 것입니다.

안전한 등산
고산등반은 대자연 가운데에서 자유를 체험하고,자기의 능력과 한계에 도전할수 있는 소중한 경험 입니다. 이 자유로운 경험에 도전하는 경우에는 등반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사고와 위험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위기나 위험에 처했을 때 자신의 올바른 판단과 상식이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당신을 지킵니다. 등산 장비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안전한 루트로 등반을 하는 것이 사고를 막는 방법일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등반중에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완전하게 방지할수 있는 방법은 있지 않습니다.등산 장비를 구입하고,등반에 도전한 시점에서 자신에게 일어날 수 있는 사고(상처, 또는 사고에 의한 죽음)에 대한 책임은 항상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결코 산은 움직이지 않기에…..


'암벽 릿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선인봉  (0) 2008.09.15
즐거운 명절 잘 보내세요  (0) 2008.09.13
등반 (상식) 등반신호  (0) 2008.07.10
홀링 hauling  (0) 2008.07.10
바리에이션 variation  (0) 2008.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