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계절이 바뀌거나 날씨의 변화에 따라 전혀 다른 양상을 나타내므로
항상 최악의 상태를 염두에 두고 대비하여야 한다.
① 비 : 산에서 비를 만나게 되면 등산자에 있어서는 절대적으로 불리하다.
구름과 가스로 인하여 시야가 막히고, 산길이 미끄럽고, 비가 계속되면 계곡물이 불어나는 등
위험요소가 많아지며 무엇보다 비를 맞으면 체온이 떨어지고 우의를 착용했더라도
행동이 부자연스러워 산해에 차질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비올 시 등산은 가급적 삼가 하며 우의를 필수품으로 준비한다.
② 바람 : 산에서는 날씨가 좋은 때라도 지형적인 조건으로 강풍이 불 때가 많기 때문에
강풍이 불 때면 능선상이나 봉우리, 위험한 산길에서는 몸가짐에 주의를 해야 한다.
③ 기온 : 고도 100m 올라 갈 때 마다 기온은 0.6℃씩 낮아진다.
가령 1000m의 산이면 평지에 비해 6℃정도가 낮아진다는 계산이다.
여기에 바람이 불거나 비가 오게 되면 기온은 더 떨어지게 된다.
소위 체감온도는 바람이 초속 1m로 불 때 1℃가 떨어진다.
다시 말해서 기온 10℃의 경우 초속 10m의 바람이 분다면 체감온도는 0℃가 된다.
이러한 이유로 체온저하로 인한 동사(凍死)는 꼭 겨울철에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여름철에도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④ 눈 : 눈이 덮힌 산은 지형적으로 무설기의 산과는 전혀 다른 산이다.
폭설이 내릴 때면 시야가 막히고 산길이 덮혀 길 찾기가 어렵고 경사가 급한 지형에는
신설표층 눈사태의 위험과 추락의 위험이 있다.
⑤ 벼락 : 여름철에 뇌우를 동반한 구름이 접근하게 되면 능선 위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고
신체에 쇠붙이를 지니지 말아야 한다.
⑥ 햇볕 : 여름철에 장시간 햇볕에 노출되면 조갈증, 일사병, 열사병 등의 위험이 있고,
겨울철의 적설기에는 설맹의 위험이 있다.
여름철에는 모자를 겨울철에는 선글라스를 준비한다.
⑦ 일몰 : 산에서의 어둠은 모든 행동을 제약하므로 산행은 일몰 전에 마치는 것이 좋다.
또한 산에서의 일몰시간은 평지보다 빠르므로 평지 일몰시간 보다 1시간 정도 여유를 두고
산행계획을 세워야 한다.
덧붙여 갑작스러운 일몰이나 어둠에 대비해서 필히 손전등을 준비하여야 한다.
'등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틱사용 UP~ DOWN (0) | 2008.10.20 |
---|---|
등급체계 - 보울더링 (0) | 2008.10.20 |
보행중의 팀웍 (0) | 2008.10.20 |
삼각산이란 (0) | 2008.10.20 |
080927 일요일 이수봉 (0) | 2008.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