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벽 릿지

확보 기구

선릉교회 2008. 10. 20. 21:33

확보 기구

 

확보물은 선등자의 중간지지점(런닝빌레이), 혹은 피치를 끊은 후의 확보지점으로 사용하는 장비다.

 

즉 선등 시 중간확보물을 설치하므로써 그만큼 추락거리를 단축시키며, 피치에서의 확보도 그만큼 튼튼해진다.

 

물론 기존 루트엔 고정확보물인 볼트나 하켄 등이 설치되어 있지만 유동확보물인 너트나 프렌드류 등이 많이 쓰이고 있다.

 

유동 확보물은 바위가 갈라진 크랙에 설치하는 것인데, 크랙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쓰이므로 그 크기도 여러 가지가 있다.

 

또한 너트와 프렌드류의 기능을 다양하게 변화시킨 장비들도 많이 있다.

 

확보물들은 자칫 사고의 원인이 될 수도 있기에 그 사용법 및 기능 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너트(Nut)

사다리꼴 및 오각형, 육각형 모양의 쇄기로 크랙에 집어넣어 지지력을 얻는 확보물이다.
크랙 등반 시 많이 이용되며 설치와 회수가 용이하다.
크랙의 모양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제품이 있다.
마이크로너트는 일반 너트를 사용할 수 없는 미세한 크랙에 사용한다.
종류에 따라서 스토퍼.록.웻지 등으로 구분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프렌드(Friend)

1978년 Ray Jardine이 발명한 크랙 속에 끼워 넣어 양쪽 날개가 벌어지면서 지지력을 얻는 확보물이다.
미세한 크랙에 사용되는 것부터 주먹보다 큰 대형 사이즈까지 다양하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암벽 릿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릿지등반시 이것은 꼭 지키자  (0) 2008.10.20
로우볼(Lowe ball)  (0) 2008.10.20
후등자 확보  (0) 2008.10.20
선등자(Top) 확보  (0) 2008.10.20
자기 확보  (0) 2008.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