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목적지는 경기도 가평의 용추계곡이었습니다. 잣나무 숲이 우거지고, 암벽과 능선을 끼고 굽이쳐 흐르는 물줄기가 곳곳에 천연 수영장 같은 탕을 만든다는 유명한 계곡. 어떤 이는 휴일에는 관광객이 너무 많이 몰려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다고까지 하는 곳이지요.
어떤 계곡이기에 그리 유명할까, 궁금했는데 결국은 가지 못했습니다. 태풍 '갈매기'가 집중 호우를 뿌려주는 덕분에 계곡에 물이 엄청나게 불어나 위험하다는 것이었지요.
해서 급작스럽게 도보여행의 목적지가 바뀌었습니다. 가평군의 호명호수. 일반인은 사전예약을 해야만 갈 수 있던 곳인데, 지난 7월 1일부터 관광객에게 개방이 되었다고 합니다. 걷기를 즐기는 사람들이 호수에 가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궁금하지요?
당연히 걷습니다. 호수로 가는 길을 걷고, 호수 주변의 길을 걷고, 더불어 호수까지 구경하니 어찌 좋지 않겠습니까. 비만 조금 덜 내려준다면 좋겠지만, 도보여행의 참맛은 비를 맞으면서 걷는 것이라니, 그 또한 기대해볼만하지 않을까요?
지난 20일, '인생길 따라 도보여행(인도행)' 회원들과 호명호수 길을 10km 남짓 걸었습니다. 주로 포장된 아스팔트길을 걸었지요. 비가 쏟아질 때는 비옷을 꺼내 입고, 비가 그치면 비옷을 배낭 속에 집어넣기를 반복하면서 시원한 빗길을 걸었습니다.
호명산 정상에는 '천지'가 있다
호명호수는 1980년에 청평 양수발전소를 만들면서 호명산 정상에 만든 인공호수입니다. 15만㎡의 면적에 267만7000톤 저수용량을 가졌다고 합니다. '백두산의 천지를 연상하게 하는 호수'랍니다. 사람의 능력은 참으로 놀랍습니다. 산 정상에 커다란 호수를 만들 생각을 하고, 그것을 실천에 옮길 수 있으니까요.
예전에 호명산에는 호랑이가 아주 많이 살아 호랑이 울음소리가 들렸다고 합니다. 그래서 붙여진 이름이 '호명산'인데 지금은 이름에서만 호랑이의 흔적을 찾을 수 있을 뿐이지요. 아, 청동으로 만든 호랑이상이 있긴 합니다. 퍼런 색깔의 호랑이는 솔직히 비호감이긴 하지요. 서울을 출발해서 호명호수 입구 주차장에 도착한 시간은 오전 10시 50분. 버스를 타고 호명호수까지 올라갈 수 있지만 일행은 걸어 올라가기로 합니다. 길은 잘 포장된 2차선 아스팔트 도로입니다. 서울에서 출발할 때는 장대비가 쏟아졌지만, 막상 버스에서 내리니 비는 그쳐 있었습니다.
뿌연 물안개가 흩뿌려진 길은 멀리서 보면 영화 속의 한 장면처럼 보입니다. 도로는 촉촉하게 젖어 있습니다. 이따금 자동차가 올라가고, 버스가 올라갑니다. 청량리 역에서 이 곳 호명호수까지 버스를 운행하고 있었습니다. 가평군내의 시내버스도 운행 중입니다.
한 시간쯤 오르막길을 올라가니 '호명호수공원 안내도'가 나타납니다. 안내도 표지판 뒤로 호수가 뿌옇게 보입니다. 무척이나 큰 호수입니다. 산 정상이라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입니다. 호수를 둘러보고, 길을 따라 가다보니 기념탑이 나타납니다. 기념탑을 지나 조금 올라가면 홍보관 '호명정'이 나옵니다. 팔각정 모양의 2층 건물입니다. 2층은 전망대입니다.
멀리 산 아래가 내려다보입니다. 날이 맑으면 아주 멀리까지 보일 것 같습니다만 아쉽게도 흐린 날씨 때문에 볼 수 있는 것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홍보관 앞에서 자리를 펴고 준비해간 점심을 먹었습니다. 여럿이 둘러 앉아 먹는 도시락의 맛, 참 좋지요. 비가 내리지 않아 운 좋게 야외에서 식사를 할 수 있었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