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 소재 북악산 산책로가 42년만에 완전 개방되어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긴 세월동안 잘 보존되어 있을 북악 생태를 가슴 속에 그리며, 산을 오르기에 앞서 설레는 마음으로 인터넷을 뒤졌다. 북악산 주변 정보를 수집하고, 산책 코스도 미리 입수했다. 북악하늘길은 ㆍ2ㆍ3 산책로와 스카이웨이(Skyway)로 이루어져 있었다. 네 코스를 모두 합하면 7㎞ 조금 넘지만, 1ㆍ2ㆍ3 산책로만 이용할 경우 4㎞ 조금 못되는 거리다. 산책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1-2-3산책로-스카이웨이’의 순과 역순으로 ‘스카이웨이-3-2-1산책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는 아래에서 위로 거슬러오르며 산책하는 통상적인 방법이고, 후자는 산등성이에서 산 아래로 산책하는 방법이다. 거리는 똑같지만 산책 난이도 면에서 차이가 많이 난다. 즉 에너지 소모량 차이가 크다. 기자는 조금 꾀를 부려 산책 코스로 후자를 택했다. 힘을 덜 들이기 위해서였다.
먼저 북악 스카이웨이로 가려면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에서 하차하여 6번 출구를 나와 01번 마을버스를 탑승하면 된다. 마을버스를 탑승하면 곧바로 오르막길을 치달으며 인근 아파트 안으로 들어선다. 버스 안내방송으로 전체 아파트 동의 절반 정도 소개가 끝나고 그들 동을 돌다 10분쯤 지나면 성북구민회관 정류장에 도착한다. 여기서 5~6분을 오르면 스카이웨이 시작점 ‘하늘한마당’이 나온다. 넓은 터에 각종 헬스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현대식 화장실도 잘 갖추어져 있다. 산책 전에 준비운동으로 몸을 풀고 볼일을 보라는 뜻이다. 마침 산책을 마치고 하산하던 60대 노인 한분을 만났다. “산책 코스를 잘 정했구먼. 난 1산책로부터 시작해 산을 오르느라 고생 깨나 했어. 이곳에서 시작하면 거진 내리막길이라 훨씬 수월할거야. 경치가 참 좋아. 다른 산과는 또 다른 면이 있거든. 그걸 발견하며 잘 갔다오게나.” 말씀을 끝내자 수건을 꺼내 이마 땀을 닦으시고는 벤치에 덥썩 주저 앉으셨다. 황사 때문에 그리 쾌청한 날씨는 아니었지만 아이에서부터 지팡이를 짚은 노인에 이르기까지 많은 시민들이 이곳을 찾았다. 스카이웨이 코스는 한참 동안 산속 길 차도와 나란히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정상에 오르면 좌우 확 트인 공간으로, 도심 풍광을 즐길 수 있어 심심치가 않다. 산책로 양옆으로 하늘을 찌를 듯한 울창한 참나무와 아카시아 나무들이 무성한데, 꽃철 잎철이 되면 정말 볼 만할 것 같았다. 주변 개나리, 진달래 나무에는 곧 꽃잎을 터뜨릴 봉오리가 노랗게 빨갛게 물들어 있었다. 발길을 옮길 때마다 등에는 땀이 솟는데, 산기슭 응달 낙옆 위에 소복히 내려앉은 흰눈은 녹을 기미를 보이지 않고 햇볕에 반사되어 눈부시게 빛났다.
다모정을 거쳐 하늘전망대로 스카이웨이 코스를 반시간 정도 거닐 때쯤 다모정이란 작은 정자가 나왔다. 일찍부터 산책 온 많은 시민들이 삼삼오오 짝지어 벤치에서 쉬거나 운동을 하고 있었다. 여의도에서 부모와 함께 산책 온 5학년생 김희준 어린이는 “처음 산책을 시작할 때는 조금 겁을 먹었는데 코스가 어렵지 않은 것 같아요. 산책로마다 전망대와 쉼터가 있어 힘들 때 쉬어갈 수 있도록 해놓아 좋아요. 공기도 맑구요. 다음에는 친구들과 함께 와야겠어요”라며 북악산책로를 소개했다. 다모정에서 조금 가면 멋진 아치형 나무 다리가 나오는데, 10m는 더 되어 보이는 높이의‘숲속다리’. 이곳이 3산책로 진입 시점이다. 3산책로는 원래 군 순찰로로, 올 2월 27일에 시민들에게 개방된 곳이다. 그래서인지 산책로를 지나다보면 군 초소가 군데군데 설치되어 있다. 산책로 중 가장 짧은 코스지만, 2산책로까지 가자면 작은 능을 서너번 오르락내리락해야 한다. 게다가 스카이웨이가 주로 흙길인 데 반해 이곳은 시멘트 계단이 많아 조금은 힘든 코스. 그러나 겁먹을 필요는 없다. 단지 요철이 있을 뿐이다. 산책로 중간중간에 우수 전망 명소도 설치되어 있고, 우측으로 내부순환도로를 씽씽 달리는 차들과 시내도 볼 수 있다. 3산책로 거의 끝점 동마루를 지나 조금 더 가면 지난해 9월에 개방된 2산책로가 반가이 맞아준다. 3산책로 쪽 2산책로 시작점에는 다리 하나가 건설 중이었는데 이름하여 ‘하늘교’. 두 산책로를 이어주기도 하지만, 그간 단절됐던 북악산과 북한산을 연결해주는 큰 의미도 있다. 교각 공사가 거의 막바지에 이르고 있는데 화강석을 깎아 난간을 만드느라 인부들의 얼굴과 머리에는 돌가루가 날려 하얗게 변해 있었다. 특히 이곳 다리는 두 산의 정기를 잇는다는 뜻에서 다리 위를 흙으로 깔아놓았다. 바로 옆 스카이웨이와 2산책로의 접점 부근 ‘하늘마루’에서 조금 쉬었다 가면 힘이 덜 든다.
하늘교에서 5분 정도 올라가면 가장 높은 곳인 ‘하늘전망대’에 이른다. 전망대 내에 벤치가 잘 마련되어 있고 사방이 확 트여 전망도 볼 만하다. 멀리 수락산, 용마산, 서경대, 불암산, 내부순환로를, 좌측에는 우뚝한 보현봉과 바로 앞 형제봉이 정답게 나란히 서 있는 것까지 볼 수 있다. 마침 이곳에서 토요 근무로 산책로를 안내하고 주변을 관리하는 성북구청 공원녹지과 소속 이운재(60) 씨를 만났다. 희끗한 머리카락을 휘날리며 모자를 눌러 쓰고 마스크까지 착용하고 근무하고 있었다. “북악하늘길이 42년 만에 개방되어서인지 많은 시민들이 찾고 있어요. 그간 사람들의 때가 묻지 않고 생태가 잘 보존되어 아름드리 나무도 많아요. 산짐승들도 볼 수 있고……. 잠시 이리로 와봐요. 저 쪽 보이죠? 마지막 산봉우리가 있는 쪽으로요. 오전에는 보였는데 지금은 흐릿하게 보이네요.” 그가 가리킨 곳은 인천 대교. 맑은 날엔 인천 쪽까지 볼 수 있다고 했다. 등산객들은 이씨를 가만 내버려 두지 않았다. 산책로 안내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질문을 던졌고, 이씨는 좀처럼 입을 떼지 않을 것 같은 첫인상과는 달리 어느 새 북악산과 관련한 때묻은 역사까지 동원해 청산유수처럼 흥미진진한 달변을 꿰어갔다. 그리고는 북악하늘길 산책로가 잘 안내된 그림지도 책자도 한권씩 나눠주었다. 곁들여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 하늘전망대에서 ‘바른 걷기 강습’을 실시한다는 것도 귀띔해주었다.
|
'등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font color="#0000ff">악천우속 아침식사</font> (0) | 2011.05.05 |
---|---|
[스크랩] 7월29일(목요일)--아차산야간산행.......... (0) | 2010.07.29 |
소구니산에서 바라본 유명산 (0) | 2010.03.15 |
노적봉 (0) | 2010.03.15 |
원효봉서 바라본 백운대(중앙) (0) | 2010.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