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실 씨는 회사가 송도로 옮겨가자 직장 가까이로 이사가고 싶었지만, 현재 살고 있는 강북 집이 팔리지 않아 최근 급매로 나온 송도 아파트를 선뜻 살 수 없었다. 졸지에 다주택자가 돼 세금폭탄을 맞을까 봐 걱정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집을 사고파는 동안 잠시 2주택자가 되면 비과세 대상이라는 점을 뒤늦게 알고 후회했다.
기본적으로 1가구 1주택자는 주택을 팔 때 세금을 내지 않지만 2주택 이상 보유하면 양도소득세를 내야 한다. 하지만 예외도 있다. A주택에서 살다가 B주택을 샀는데, A주택이 안 팔려 2주택자가 된 경우에는 B주택을 산 후 3년 안에만 A주택을 팔면 '일시적 2주택자'로 인정받아 양도소득세를 안 내도 된다. 특히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 등에 근무하다가 지방 발령 때문에 지방으로 이사를 가면 5년간 비과세 대상이 된다.
박재순 영앤진회계법인 상무는 "예외적으로 세금 혜택을 주는 만큼 먼저 산 주택부터 팔아야 제대로 면제받을 수 있다"며 "결혼 등 다른 사유 때문에 1가구 2주택자가 되면 양도차익이 더 많이 발생한 주택을 나중에 팔아야 양도세를 절약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예를 들어 10년 전 같은 날에 1억원에 산 아파트 현재 시가가 하나는 5억원, 다른 하나는 3억원이다. 3억원 아파트를 먼저 팔면 양도차익 2억원에 대한 양도세(약 3500만원)를 부담하고, 5억원 아파트를 팔 때는 비과세가 적용된다. 반대로 5억원 아파트를 먼저 팔면 앞 사례보다 두 배가 넘는, 약 9500만원 양도세를 내야 한다.
자료: http://cafe.daum.net/oto4989
'부동산 정보 (매매. 임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앞으로는 부동산 실거래가로 보상한다. (0) | 2016.01.13 |
---|---|
[스크랩] "임대·숙박으로 순수익 年 1억에 수익률이 무려 36% (0) | 2016.01.07 |
[스크랩] 실속 있게 경매 물건 고르는 노하우 (0) | 2015.11.30 |
[스크랩] 맹지에 도로를 개설할수 있는 주위토지 통행권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5.08.17 |
[스크랩] 2017년부터 크게 바뀌는 주택임대 사업소득 (0) | 2015.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