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걷기 위한 물 섭취== | |
|
주말이면 등산을 가거나 걷기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산에 자주 다니는 사람들은 "물을 많이 마시면 땀이 난다." 며 물을 마시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엇은 걷기 운동 또는 등산 등으로 땀이 조금씩 날 때마다 물을 마시면 땀이더 난다는 생각 때문이다.
또한 설사할 때도 물이나 음식을 먹으면 설사가 더 심해진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이런 말은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는 이야기이다. 설사가 심할수록 그리고 땀이 많이 날수록 손실된 수분을 공급하려면 물을 더 많이 마셔야 한다. 물론 이때 물을 마시지 않으면 설사가 멎고 땀은 나지 않는다.
설사나 땀이 날 때 수분 공급을 중단하면 탈수증상을 일으켜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설사를 하면 의사들은 대개 링거주사를 놓아주는데 이것이 바로 부족한 수분을 공급하기 기본적인 조치이다.
땀이 많이 나고 설사가 심할 떄 수분을 제대로 공급하지 않으면 탈수증이 일어나 혈액이 줄어들고 수분과 염분이 부족해져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을 맞게 될수 있다.
그렇다고 언제나 염분을 많이 섭취하고 음식을 짜게 먹을 필요는 없다.
최근 새계보건기구(WHO)의 조사에 의하면 하루에 5~7g의 소금만 섭취하면 건강하게 살 수 있다고 한다.
소금기가 많은 짠 음식을 계속 먹는 뇌동맥이 터져 뇌출혈이나 뇌졸증 등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조금 싱겁게 먹는 습괍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땀을 많이 흘리고 강도 높은 걷기운동을 격렬하게 할 때에는 물과 염분의 공급량을 늘려주어야한다.
군대에서 한여름에 행군을 할 때 병사들에게 식염을 특별히 조제한 염분소실방지용 정제를 먹이고 있는것도 탈수증을 막기 위해서 이다.
기온이 높고 더운 날씨에 등산을 할 때에는 염분 섭취가 부족하면 열경련(熱經攣) 같은 병을 일으키기쉽다.
만약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머리를 식히고 물과 소금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설탕물이나 사탕은 효과거 없다.
그래서 이 원리에 입각해 만든것이 바로 스포츠 음료이다.
스포츠 음료란 쉽게 말해서 0.9%의 소금물이나 것이다.
다시 말해서 평소에는 조금 싱겁게 먹고 겨울철에는 염분 섭취를 줄여야 하지만 더운 날씨에 땀을 많이 흘리거나 강도 높은 걷기를 할 때에는 물을 많이 만시고 반찬도 짜게 먹고 수박이나 토마토도 소금에 찍어 먹는것이 오히려 건강에 이롭다.
|
'암벽 릿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악산 (0) | 2006.02.27 |
---|---|
최고의 풍경을 안고 춘천 삼악산에서 (0) | 2006.02.26 |
산방기금 걷지 말았으면 합니다 단 자율에 맡기면 (0) | 2006.02.23 |
나는 괜찮습니다.. (0) | 2006.02.07 |
있을 때는 그 소중함을 모르고 (0) | 2005.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