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벽 릿지

==제대로 걷기 위한 물 섭취==

선릉교회 2006. 2. 24. 14:21
==제대로 걷기 위한 물 섭취==

주말이면 등산을 가거나 걷기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산에 자주 다니는 사람들은 "물을 많이 마시면 땀이 난다."

며 물을 마시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엇은 걷기 운동 또는 등산 등으로 땀이 조금씩 날 때마다

물을 마시면 땀이더 난다는 생각 때문이다.

 

또한 설사할 때도 물이나 음식을 먹으면 설사가 더 심해진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이런 말은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는 이야기이다.

설사가 심할수록 그리고 땀이 많이 날수록 손실된 수분을 공급하려면 물을 더 많이 마셔야 한다.

물론 이때 물을 마시지 않으면 설사가 멎고 땀은 나지 않는다.

 

설사나 땀이 날 때 수분 공급을 중단하면 탈수증상을 일으켜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설사를 하면 의사들은 대개 링거주사를 놓아주는데

이것이 바로 부족한 수분을 공급하기 기본적인 조치이다.

 

땀이 많이 나고 설사가 심할 떄 수분을 제대로 공급하지 않으면 탈수증이 일어나

혈액이 줄어들고 수분과 염분이 부족해져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을 맞게 될수 있다.

 

그렇다고 언제나 염분을 많이 섭취하고 음식을 짜게 먹을 필요는 없다.

 

최근 새계보건기구(WHO)의 조사에 의하면

하루에 5~7g의 소금만 섭취하면 건강하게 살 수 있다고 한다.

 

소금기가 많은 짠 음식을 계속 먹는 뇌동맥이 터져 뇌출혈이나 뇌졸증 등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조금 싱겁게 먹는 습괍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땀을 많이 흘리고 강도 높은 걷기운동을 격렬하게 할 때에는

물과 염분의 공급량을 늘려주어야한다.

 

군대에서 한여름에 행군을 할 때 병사들에게 식염을 특별히 조제한

염분소실방지용 정제를 먹이고 있는것도 탈수증을 막기 위해서 이다.

 

기온이 높고 더운 날씨에 등산을 할 때에는 염분 섭취가

부족하면 열경련(熱經攣) 같은 병을 일으키기쉽다.

 

만약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머리를 식히고 물과 소금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설탕물이나 사탕은 효과거 없다.

 

그래서 이 원리에 입각해 만든것이 바로 스포츠 음료이다.

 

스포츠 음료란 쉽게 말해서 0.9%의 소금물이나 것이다.

 

다시 말해서 평소에는 조금 싱겁게 먹고 겨울철에는 염분 섭취를 줄여야 하지만 더운 날씨에

땀을 많이 흘리거나 강도 높은 걷기를 할 때에는 물을 많이 만시고 반찬도 짜게 먹고 수박이나

토마토도 소금에 찍어 먹는것이 오히려 건강에 이롭다.

 

[펌]우리회원 eruza 님의 글 (태그가 걸려 있어 지우고 올린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