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나도 운동중독? |
![]() 자영업자 김모(34)씨는 다음 달 미국 보스턴 마라톤 대회에 참가할 생각만 하면 마음이 설렌다. 3년 전 건강 유지를 위해 달리기를 시작할 때만해도 5㎞를 헉헉대며 겨우 뛰었다. 그렇게 조금씩 거리를 늘린 김씨는 힘겹게 10㎞ 벽을 통과한 지 얼마되지 않아 새로운 목표를 세웠다. 첫 도전한 하프 마라톤 대회 기록에 만족한 김씨의 다음 목표는 42.195㎞ 정복이었다. 몇 차례 풀 코스를 완주한 김씨는 드문드문 대회에 참가하는 것으로 성에 차지 않았다. 이젠 거의 매주 또는 격주마다 풀 코스 대회 출전을 위해 전국을 찾아 다니는 게 주말의 일상이 됐다. 언론사나 대부분의 자치단체가 여는 마라톤 대회를 포함하면 전국적으로 거의 매주 풀코스의 장이 마련돼 있다. 올해 초에는 100㎞가 넘는 울트라 마라톤 대회에도 참가했다. 국내도 모자라 해외 마라톤 대회에 도전장을 내민 김씨는 “달리면서 기록을 단축해가는 성취감은 뭐라 말할 수 없다”며 “내년에는 철인3종 경기에도 도전해 볼 생각”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김씨에게는 건강 유지보다는 매번 높게 세운 목표를 이뤄가는 게 운동의 목적이 된 셈이다. 마라톤 경력 5년차인 회사원 손모(43)씨는 요즘 답답해 죽을 지경이다. 지난해 3월 마라톤 풀코스를 완주한 후 햄스프링(허벅지 뒷부분)에 부상을 당해 마음껏 뛸 수 없기 때문이다. 천천히 가볍게 달리면 그적저럭 견딜만 하지만 조금이라도 빨리 뛰려고 욕심을 내면 어김없이 다리근육이 당기고 콕콕 찌르는 통증이 찾아와 포기하기 일쑤다. 손씨는 “의사는 당분간 아예 뛰지 말고 찜질 치료만 받으라고 충고했지만 차마 그럴 수는 없다”며 “대회가 있는 날이면 다른 동료들이 뛰는 모습을 그저 지켜봐야 한다는 생각에 잠이 안 온다”고 말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운동에 지나치게 빠져드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른바 운동중독이다. ‘운동=건강=웰빙=행복’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내가 왜 이러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운동에 지나치게 몰두하게 되고 스스로 운동량을 조절하는 능력마저 약해져 운동을 못할 경우에는 혼란과 무기력증에 빠지는 현상이다. 마라톤, 보디빌딩, 축구 등 생활체육 동호인의 70%가 이러한 증세를 보인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몸에 무리가 갈 정도로 운동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탈진상태에 이를 정도로 운동강도가 최고점(death point)에 이르면 베타엔돌핀이라는 호르몬의 분비가 왕성해져 고통은 줄고 행복감이 커지는 상태(second wind)를 경험하게 되기 때문이다. 마라토너들이 30분 이상 달렸을 때 느낀다는 ‘몸이 붕 뜨는 기분(runners’ high)’도 여기에 해당한다. |
'시사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영하를 두려워 하는 옐친 대통령... (0) | 2006.03.23 |
---|---|
우째 이런일이??? (0) | 2006.03.23 |
공짜 도시락 카페 Attack 신청 방법! (0) | 2006.03.11 |
김형곤 사망 (0) | 2006.03.11 |
토성에 생명체 가능성…과학계 흥분 (0) | 2006.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