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벽 릿지

암벽등반의 분류와 사조변화

선릉교회 2008. 6. 27. 22:30

암벽등반의 분류와 사조변화


(1) 등산과 암벽등반

* 산행중 필연적으로 만나는 산의 다양한 난관을 극복할 수 있는 수단
* 암벽등반 자체만으로도 무척 흥미있는 스포츠
* 암벽등반은 안전하다.
* 누구나 자신의 가능성과 수준에 맞게 즐길 수 있다.


(2) 암벽등반 행위의 분류

① 보울더링(Bouldering)
추락시 부상의 위험이 없는 작은 바위에서 암벽등 반을 즐기거나 어려운 기술을 연마하는 행위(1910년-현재)

② 크랙 클라이밍(Crack Climbing)
1-2마디(Pitch)의 작은 암벽을 오르는 등 반행위(확보방법과 장비의 미발달 시기)

③ 연속등반(Continuous Climbing)
여러 마디를 연속적으로 등반(확보방 법, 장비발달 시기 ; 1915년 이후)

④ 빅월 클라이밍(Big Wall Climbing)
대암벽을 오르는 등반 (1930년 이후 1960년대)

⑤ 알파인 클라이밍(Alpine Climbing)
알프스의 조건을 오르는 등반행위

⑥ 수퍼 알파인 클라이밍(Super Alpine Climbing)
알프스의 등반방식으로 고산등반(히말라야)에 적용하는 등반행위 (1950년대 이후)

⑦ 원정 등반(Expedition Climbing)
원정을 통하여 이루어 지는 등반


(3) 암벽등반사조의 변화

① 등정주의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한 정상등정의 목적 (18-19세기)

② 가이드레스(Guideless)
가이드의 도움이 없는 등반에 더 큰 가치를 인정 (19세기 중반)

③ 등로주의
단순한 정상 등정의 가치보다 얼마나 더 어렵고 새로운 루트로 등반했는가를 더 중요시 함.(19세기말) - A.머메리에 의한 머메리즘의 창시 '좀 더 어렵고 다양한 루트로의 등반(More Difficult Variation Route)'

④ 곡예등반
등로주의로 부터 비롯된 암벽등반기술의 발달시기(20세기 초)

⑤ 북벽등반
머메리즘과 암벽등반기술.장비의 발달을 바탕으로 알프스의 험 난한 북벽을 등반하던 시기(1900년-1940년)

⑥ 직등주의
머메리즘을 극한으로 추구하기 위해 대암벽을 직선으로 오르는 것을 추구한던 시기(1950-1960년대) - 인공등반의 발달

⑦ 요세미테등반
미국 요세미테지역의 대암벽을 등반하는 스타일로 본격적으 로 암벽등반기술과 장비가 발달하던 시기 (1950-1970년)

⑧ 크린 클라이밍
오르려는 목적만으로 암벽에 무분별하게 사용하던 피톤과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등반하려는 정신(1970년대)

⑨ 프리 클라이밍
인공적인 장비등에 의지하지 않고 오직 인간의 능력만으로 암벽을 오르는 스타일 (1975년 이후)

⑩ 인공암벽과 등반경기
훈련의 목적으로 인공암벽이 세워지고 암벽등반을 스포츠화하여 인공암벽에서의 우열 경쟁 (198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