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벽 릿지

하강법 2 - 8자 하강기

선릉교회 2008. 10. 20. 21:27

8자 하강기의 사용 시 주의 사항 (2004.3.12)

 

게시판에 질문이 들어 온 것을 정리해서 8자 하강기 사용 시 주의 사항으로 올립니다.

 

1. 외국에서는 8자보다는 튜브 하강기를 하강기나 확보기로 더 많이 사용한다고 들었습니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신대로 모두가 맞습니다.

한 가지 더 모든 등산 장비는 겸용 및 다용도로 쓰기 위해 그 동안 많은 연구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장비는 한가지의 기능에 충실하게 집중되어 있습니다.

 

나머지는 부수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개발 또는 추가를 시킨 것입니다.

 

등반이 시작되면서 먼저 개발 된 것이 빌레이 기구보다 하강기입니다.

 

많은 하강기가 개발되었지만 그 중에 지금 까지 남아 있는 다용도의 하강기는 8자 입니다.

 

8자 하강기는 빌레이를 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그리고 빌레이 기구 역시 등반이 발달되면서 (점점 더 어려운 등반을 추구하면서) 많은 발달을 하였습니다.

 

여타의 장비보다 빌레이 기구가 제일 많은 종류와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만큼 안전을 위한 행위이기에 까다롭다는 것이죠.

 

8자 하강기는 오래 동안 그리고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을 하면서 중요한 문제점들이 발견이 되었습니다.

 

선생님께서 말씀 하신대로 8자 하강기는 줄이 잘 꼬입니다.

 

꼬이는 것으로 끝나면 좋은데 줄이 길수록 꼬이는 정도가 무척 심해진다는 것이죠.

 

하강 중 꼬인 것을 풀지 못할 정도로 심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만약에 초보자가 대처 능력 없이 이런 상항에 생기거나 대처할 능력을 가진 사람이라 할지라도 매달려 있거나 주변 상황이 그것을 처리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때에는 문제가 달라지지요.

 

특히, 악천후 시, 눈 또는 비가 많이 와 앞을 분간하기 힘들 경우, 겨울등등의 상황을 가정한다면 그 결과는 엄청 나죠.

 

그리고 8자로 빌레이를 보면 안 되는 것은 시스템의 잘못으로 하강기가 돌아가서 카라비너에서 이탈이 되는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하강기 또는 빌레이 기구를 사용 할 때는 꼭 잠금형 카라비너가 필수입니다.

 

또 하나는 8자 하강기를 연결하는 것은 카라비너입니다.

 

8자 하강기를 카라비너에 걸어서 사용할 때 8자 하강기의 카라비너 고리와 카라비너 사이에 유격이 있어 순간적으로 충격이 가해질 때 카라비너가 파손될 수 있는 소지가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8자 하강기로 확보를 볼 때 확보할 수 있는 확보력은 그리 높지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래 전에 8자 하강기를 사용하다가 미국에서 안전사고가 났었다는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여하튼 8자 하강기는 주 사용처가 하강기(디센더)입니다.

로프의 마모도 8자 하강기가 마찰 면적이 많이 빨리 마모를 시킵니다.

그리고 등반은 무게와도 싸움입니다.

 

비슷한 역할을 하는 것을 골라 가져가라면 당연히 가벼운 쪽과 안전성이 더 있는 것으로 손이 갈 것입니다.

 

확보는 가능한 전문적인 확보 기능을 가진 제품을 사용하기를 권장합니다.

현재 많은 종류의 확보기구 들이 나오고 있으며 대부분의 제품은 뛰어난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대부분은 하강기의 기능도 갖추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확보 사고는 장비 조작의 미숙, 안전수칙의 미 준수, 그릇된 확보 기술, 안이한 확보태도 등에서 비롯된다는 것 입니다.

 

많은 연습으로 안전한 확보법을 익히시고 또 장비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한 후 그 장비를 사용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