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고혈압 치료와 합병증 예방
선릉교회
2009. 2. 12. 11:35
고혈압 치료와 합병증 예방 우리나라 성인인구의 약 20%가 정상보다 높은 고혈압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20%정도는 중증 고혈압, 나머지 80%가 중등도 고혈압입니다. 우리나라 성인인구 중, 다섯명중 한명은 혈압이 높고, 100명중 4명은 중등도 이상의 고혈압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고혈압 인구중 약 반 수만이 치료를 받고 있고, 이중 약 반수에서만이 적절한 상태로 혈압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혈압조절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어려운 면이 있음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 고혈압이란? 심장은 우리몸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수축과 이완작용을 반복하면서 혈액을 골고루 우리 몸 구석구석까지 보내줍니다. 혈압은 심장이 박동할 때 혈관벽이 받는 압력입니다. 혈압이 상승하여 일정하게 상승된 압력이 그대로 지속되는 경우를 의학적으로 고혈압이라고 하지요. 혈압은 항상 일정하지 않고 변합니다. 운동시, 흥분한 상태에서는 심장 박동수가 빨라지면서 혈압이 오르고 수면중에는 내려갑니다. ▣ 혈압의 범위? 구분 수축기 혈압 mmHg 확장기 혈압 mmHg ----------------------------------------------------------------- 이상적인혈압 < 120 그리고 < 80 정상 < 130 또는 < 85 높은정상 130 ~ 139 또는 85 ~ 89 고혈압(1도) 140 ~ 139 또는 90 ~ 99 고혈압(2도) 160 ~ 139 또는 100 ~ 109 고혈압(3도) ≥180 또는 ≥110 수축기 혈압(최고혈압)은 심장이 수축하여 혈액을 혈관으로 밀어낼 때 혈관벽이 받는 압력이며, 이완기혈압(최저혈압)은 심장이 이완할 때 혈관에서 유지되는 압력입니다. 수축기혈압은 높은데 이완기혈압이 정상인 경우를 수축기 고혈압이라 하고, 수축기 혈랍은 정상인 반면, 이완기혈압만이 높을때를 이완기고혈압이라고 합니다. ▣ 고혈압의 증상은? 고혈압은 증세가 없기 때문에 치료를 소홀히 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이 오랫동안 진행되어 콩팥, 뇌, 심장 등에 합병증이 생기면 우리 몸의 주요 장기에 심각한 문제를 가져옵니다. 주위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합병증은 뇌졸중(중풍)입니다. 또한 심근경색, 대동맥 발리 등 갑자기 사망할 수 있는 위험소지를 충분히 만들어 준다는데 문제가 심각합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고혈압은 '무언의 살인자'라고 부릅니다. ▣ 고혈압의 원인은? 고혈압의 원인은 95%이상이 본태성(일차성) 고혈압이며, 그 원인이 아직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고 있습니다. 가족력의 경향이 짙어 유젅거인 요소가 많이 관여되며, 고령일수록, 비만일수록, 염분에 대한 감수성이 높을수록 발생할 가능성이 많습니다.또한 혈압의 증가를 가져오는 다른요인들 즉, 경구피임약의 복용, 비활동ㅈ거인 생활 습관, 과음등이 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고혈압을 잘 조절하지 않으면? 고혈압을 잘 조절하지 않으면, 신체 여러기관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고혈압의 합병증으로써 손상을 받는 대표적인 기관은 뇌, 심장, 콩팥, 대동맥 및 안과질환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혈압의 치료는 합병증을 미연에 방지하는 데에 있습니다. 실제로 고혈압을 치료하면 '합병증을 방지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이 나오는데, 현재까지 많은 연구들이 고혈압을 적절히 치료하면 모든 형태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고, 일단 합병증이 있는 환자라도 치료를 적극적으로 하면 합병증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