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미싱 피해 예방
스미싱 피해 예방
http://blog.daum.net/goodwork
문자 메시지(SMS)를 이용한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신뢰할 수 있는 사람 또는 기업이 보낸 것 처럼
가장하여 개인의 비밀정보를 요구하거나 휴대폰 소액결제를 유도하는 것을 말합니다.
스마트폰 보안 취약점을 노려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스미싱 범죄는 2013년 상반기에만 16만건, 총 32억에
달하는 피해가 경찰청 접수 되는 등 사회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스미싱 문자 메시지는 어떤 형태로 오나요?
스미싱 문자는 악성 앱이 다운로드 되는 URL 링크(인터넷 주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로 스미싱 문자 메시지의 내용은 고객이 의심하지 않고 열어볼 수 있도록 공인 기관을 사칭하는 것이
많으며 교통범칙금 조회, 경찰청 출두요청, 법원등기 확인, 쇼핑몰 결재내역 확인 등 다양한 유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URL을 클릭하기만 해도 악성코드에 감염되나요?
스미싱 문자의 URL에 연결하는 경우 악성 앱이 다운로드 될 수 있으므로 확인되지 않은 인터넷 주소는
무심코 연결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악성 코드 감염은 다운로드 받은 앱을 설치까지 하는 경우에 감염되는 것이므로, 스미싱 URL을
연결하였더라도 앱을 설치하지 않고 바로 삭제하면 스미싱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SK 텔레콤에서 제공하는 스마트 폰 전용 백신 ‘T가드’ 앱을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검사하면 다운로드 된
악성 앱을 손쉽게 찾아 삭제할 수 있습니다.
- 1
문자 탈취
수신되는 SMS를 가로채서 해커의 서버로 자동 전송 시키는 수법
소액결제 인증문자를 탈취하여 소액결제 피해 발생 - 2
문자 임의 전송
내 휴대폰 주소의 지인들에게 단체로 동일한 스미싱 문자를 자동 전송함
최근 발신번호를 속여 스미싱 문자를 유포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스미싱 문자 전송의
도구로 사용되거나 대량 문자 전송 요금 발생 - 3
금융 정보 탈취
휴대폰에 저장된 보안카드, 공인인증서 등을 탈취하여 해커에게 전송하거나, 금융 뱅킹 앱을 사칭하는
가짜 앱 설치를 통한 보안 등급을 업그레이드 등의 명목으로 보안카드 입력 등을 유도은행권에서 제공하는 앱은 보안 강화를 목적으로 금융정보 입력을 요구하지 않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4
개인정보 탈취
휴대폰에 저장된 주소록 리스트 및 사진파일, 문자 메시지 내용 등 개인 정보를 탈취하여 해커에게 전송 - 5
해커 마음대로 조작 가능한 좀비폰이 됨
악성 코드에 감염된 휴대폰은 해커의 명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전송하거나 문자를 발송하는 등
다른 스마트폰을 감염시키는 악성코드의 숙주 역할을 하게 됨
- 1 경찰서에 신분증, 스미싱 피해 단말기, 피해 내역(청구서 내 소액결제 내역 등 증빙)을 지참하고
방문하여 피해 내용을 신고하고 ‘사건사고 사실확인원’을 발급 받습니다.사건사고 사실확인원의 발급 용도는 ‘통신사 제출용’으로 하며 피해 금액과 발급번호가 필수 기재 되어야 합니다.
- 2 SK텔레콤 고객센터(휴대전화 114)로 전화하여 스미싱 피해 접수 및 ‘사건사고 사실확인원’을 FAX로
제출 합니다. - 3 접수 받은 SK텔레콤 상담사가 PG사(소액결제사)로 피해 접수를 이관, 접수 후 6일 이내에 PG사
또는 콘텐츠 제공 업체로부터 청구 취소 결과를 전화로 통보받게 됩니다.
SK텔레콤의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스미싱 피해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1
URL 링크 클릭 주의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문자 메시지의 인터넷 주소는 함부로 연결하지 않습니다.
- 발신자가 불분명한 문자 메시지 내의 인터넷 주소(URL)는 함부로 연결하지 않습니다.
- 지인에게서 전송된 문자라 하더라도 URL을 포함하고 있으면 연결하기 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2
스팸필터링 서비스 가입하기
SK텔레콤에서 무료 제공하고 있는 스팸필터링 서비스를 가입하면 스미싱 악성 앱 설치 위험이 있는
스팸필터링 부가서비스 가입하기 >
문자까지 자동 차단해 드립니다.- 가입방법 : 휴대전화 ‘114’로 전화하여 고객센터에 신청 / 온라인 T world를 통해 가입
- 가입 후 차단된 문자 내용은 ‘스팸필터링’ 앱 또는 온라인 T world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3
‘T가드’ 백신 앱을 설치 후 주기적인 검사 실행
SK텔레콤에서 무료 제공하는 모바일 보안 솔루션인 ‘T가드’ 앱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T가드(T백신) app. 다운로드 바로가기 >
검사합니다.- 다운로드 방법 : T스토어에서 무료 다운로드
- 불법 소액결제를 발생시키는 스미싱 앱 방지용 전용 백신이 탑재 되어있어 빠르고 정확하게
악성코드를 검사하여 피해를 예방합니다.
- 4
알 수 없는 출처의 앱 설치 옵션 ‘off’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하는 스마트 폰의 경우 보안 설정을 강화하여 90%이상 스미싱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설정방법 : 휴대폰 환경설정 > 보안 > ‘알 수 없는 출처’에 [V] 체크 해제
- 앱 설치 전 확인을 통해 악성 앱이 자동으로 설치 되는 것을 막아 피해를 예방합니다.
- 5
소액결제 사용 차단/제한 설정 및 비밀번호 서비스 이용
소액결제를 이용하지 않는 고객은 미리 소액결제 차단을 신청하거나 결제금액 한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소액결제 비밀번호 서비스 가입하기 >
소액결제 비밀번호 서비스를 신청하여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소액결제 차단/제한 신청 :
- 지점, 대리점에 신분증 지참하여 방문하거나 고객센터(114)로 전화하여 신청
- 온라인 T world : my T 이동전화 > 조회 > 소액결제 이용제한 변경
- 모바일 T world : 요금조회 > 소액결제 > 소액결제내역/소액결제 설정
- 소액결제 비밀번호 서비스 신청 :
- 휴대전화로 비밀번호 가입전용 ARS특번 (153111) 연결하여 가입 가능
- 지점, 대리점에 신분증 지참하여 방문하거나 고객센터(114)로 전화하여 신청 http://blog.daum.net/goodwork
- 소액결제 차단/제한 신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