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상속세 |
과세대상 |
:상속재산 |
-상속재산은 피상속인이 국내에 주소·거소를 두고 있느냐에 따라 과세범위가 달라진다.
국내에 주소를 둔 경우: 국내 및 국외에 소재하는 상속재산 전부
국외에 주소를 둔 경우: 국내에 소재하는 상속재산으로 제한
|
|
납세의무자: |
상속인 또는 유증자 | |
*유증자란 사망으로 인하여 효력이 발생하는 증여에 의하여 재산을 취득하는 자
|
|
과세표준 |
산정방식 |
|
|
1」상속재산의 범위 |
본래의 상속재산
|
:금전으로 환가할 수 있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모든 물건과 재산적 가치가 있는 법률상·사실상의 모든 권리 |
간주상속재산
|
:상속재산으로 간주하는 것으로서 보험금, 신탁재산, 퇴직금 등 |
추정상속재산
|
:속개시일 전 처분한 재산가액 또는 부담한 채무가 상속개시일 전 1년 내 2억원이상~5억원 미 만,2년 내 5억원 이상인경우로서 그 용도가 명백하지 않은 경우 | |
|
2」비과세 재산 |
국가,지방자치단체,공공단체에 유증 등을 한 재산
분묘에 속한 금양임야(3천평 이내), 분묘에 속한 묘토인 농지(600평 이내), 족보 및 제구. 단, 금양임야 및 묘토는 2억원을 한도로 함.
과세가액 불산입 재산: 공익을 목적으로 출연한 재산 또는 공익신탁 재산 |
|
3」공과금 등 |
공과금
|
:상속인에게 승계된 피상속인의 조세·공공요금 등 |
장례비용
|
:장례에 소요된 묘지구입비 등을 다음의 구분에 따라 공제 |
|
-500만원 미만: 500만원 -500만원~1,000만원: 전액 -1,000만원 초과: 1,000만원 * 납골사용비용은 500만원을 한도로 추가공제 |
채무
|
:국가·지방자치단체·금융기관 등에 대한 채무로서 상속개시일 현재 피상속인이 부담할 것으로 확정된 것
| |
|
4」상속공제 |
 |
|
세율 |
-현재 상속세와 증여세는 과세구간 및 세율이 단일화되었음 |
 |
|
2. 증여세 |
증여세는 상속세의 보완세로, 이는 피상속인이 生前에 상속세를 회피하기 위해 재산을 상속인에게 증여하려는 것을 방지하고자 부과되는 세금이다.
|
|
과세대상 |
:증여재산 또는 간주증여재산(증여의제 및 증여추정재산) |
-상속세와 마찬가지로 증여자가 국내에 주소,거소를 두고 있느냐에 따라 그 범위가 달라진다. |
국내에 주소 둔 경우: 국내 및 국외에 소재하는 수증재산 전부에 과세 |
국외에 주소를 둔 경우: 국내에 소재한 수증재산에 한해 과세 |
|
납세의무자 |
:수증자 | |
|
과세표준 |
|
-산정방식 |
 |
|
1」증여재산의 범위 |
·금전으로 환가할 수 있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모든 물건과 재산적 가치가 있는 법률상·사실상의 모든 권리 |
|
-행위 또는 거래의 명칭·형식·목적에 불구하고 타인으로부터 재산의 직·간접 무상이전(저렴한 대가에 의한 이전포 함), 타인의 기여에 의한 재산가치 증가에 증여세 과세 | |
|
<증여 예시> |
① 일반적 증여 |
 |
신탁이익, 보험금, 고·저가 양도, 채무면제, 부동산 무상사용, 금전무상대부증여 등 | |
② 자본거래 관련 증여 |
 |
증자시 증여 | |
|
·저가발행 실권주의 재배정·불배정 |
·고가발행 실권주의 재배정·불배정 |
·고·저가 발행 신주의 불균등 배정 | |
 |
현물출자시 증여 |

|
전환사채 등에 대한 증여 |
|
·전환사채 등을 인수·취득함으로써 이익을 얻는 경우 |
|
·전환사채 등을 주식으로 전환하거나 양도함으로써 이익을 얻는 경우 |
 |
·합병시 증여 |
 |
감자시 증여 |
 |
특정법인을 통한 이익의 증여 |
 |
상장시 증여 |
 |
기타증여 |
|
·예시된 증여 외에 이익을 얻은 경우 증여 |
|
·미성년자등 자신의 계산으로 행위를 할 수 없다고 인정되는 자의 재산가치 증가에 대한 증여 |
증여의제 및 증여추정 |
|
① 증여추정: 배우자 등에 대한 양도, 자금출처 |
|
② 명의신탁 재산 증여의제 |
|
2」과세제외 재산 |
비과세재산 |
|
·국가·지방자치단체로부터 증여받능 재산의 가액 |
|
·민법상 부양의무자 상호간의 생활비, 교육비, 학자금 또는 부의금, 혼수용품 등 |
|
불산입재산 |
|
·공익법인이 출연받은 재산과 공익신탁을 통하여 공익법인 등에 출연한 재산 |
|
3」증여재산공제 |
|
 | |
|
세율 |
-현재 상속세와 증여세는 과세구간 및 세율이 단일화되었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