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사고일시 : 1999년 △월 △일 17:20분경
② 사고장소 : 강원도 원주시 국도상
③ 피해내용 : 사망 1명, 중상 1명
④ 사고내용 : ○○고등학교 2학년 재학중인 운전자 C군은 J군을자신의 오토바이 뒤에 태우고
달리던 중 앞서 달리던 승용차와 경쟁이 되어 약 100km이상의 속도로 과속하게
되었고 커브를 지난후 신호대기중이던 차량를 발견했으나, 제동하기에는 이미
늦었음을 알고 핸들을 급히 옆으로 트는 순간, 옆차선의 1톤 화물차량의 앞 범퍼
부분에 부딪쳐 옆으로 전도되면서 공사관계 로 정차되어 있던 덤프트럭 측면
화물적재함에 머리 등을 다쳐 운전자는 중상을 입고 후송 되었고, 뒤에 동승했던
J군은 그 자리에서 사망한 사고임.
【사고원인 분석 및 대책】
상기 교통사고의 가장 큰 원인은 과속이었다. 그리고 경쟁심을 갖는 운전행위가 특히 이륜차에게는 얼마나 무모한 행위인가를 여실히 증명하는 예라 할 수 있겠다. 당시 경쟁을 하던 승용차는 그대로 사라져 버렸다. 운전자 C군은 학생 신분이라 구속은 간신히 면할 수 있었지만 무보험 상태라 사망자 유족에게 9천만원이 넘는 보상을 직접 해야만 했다. |
사고사례 2)
① 사고일시 : 1999년 3월 20일 04:35분경
② 사고장소 : 강원도 동해시 지방국도상
③ 피해내용 : 중상 1명(1급상해, 진단 16주)
④ 사고내용 : 신호등 없는 사거리상에서 무단횡단중인 피해자를 오토바이가 충격한 사고.
⑤ 처리내용 : 오토바이 책임보험 가입 회사에서 부상장해보험금 7,500만원을 지급하고, 책임보험
초과 추정손해액 5천만원을 의료보험공단측에서 의료보험수가로 처리 후 조합부담
액을 오토바이 운전자 상대로 구상권 청구소송 진행중임. (현재 오토바이 운전자는
구속 수감중임)
【사고원인 분석 및 대책】
‘보행자는 반드시 보호되어야 한다’는 운전자의 기본을 절대로 잊으면 안되는 예라 할 수 있겠다. 비록 무단횡단이라 할지라도 보행자에 대한 보호의무를 위반하거나 다치게 하면 무거운 처벌을 면할 수 없다. 그리고 반드시 보험에 가입해야 한다. 그래야 사고이후의 경제적 부담만이라도 덜 수 있기 때문이다. |
사고사례 3)
① 사고일시 : 1998년 △월 △일 15:20분경
② 사고장소 : 경북 울진 지방국도상
③ 피해내용 : 이륜차 운전자 전치 8주, 동승자 전치 12주
④ 사고내용 : 이륜차 운전자가 음주 및 무면허 상태에서 운전중 차량과 접촉한 사고임.
⑤ 처리내용 : 이륜차 동승자의 보험금액의 이륜차 운전자 과실에 해당하는 금액인 2천만원에
대해 구상권 청구소송 진행중이며, 현재 이륜차 운전자는 동승자의 구상권과 관련
하여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구상독촉에 따라 일상생활을 영위
하지 못해 자취를 감추고 현재는 주민등록이 말소된 상태임.
대부분의 교통사고와 마찬가지로 상기의 이륜차 교통사고들도 한결같이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한 사고라는 점을 절대로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다음은 ‘99년 경찰청 교통사고 통계자료 중 이륜차 관련 교통사고 현황 및 내용을 분석해보자. 우선 표1 의 차종별 교통사고 발생건수를 살펴보면 1990년 이후 이륜차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계속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91년 7.1%에서 ‘98년 4.1%로 현저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반면 승용차의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90년 44.5%에서 ‘98년 62.1%로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물론 수요가 증가하기는 이륜차든 승용차든 마찬가지지만 교통사고 발생건수가 정반대의 현상으로 나타나는 요인은 두가지로 요약된다고 하겠다. 첫째는 이륜차가 결코 위험한 교통수단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둘째는 이륜차 운전자의 안전운전에 대한 의식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겠다.
【표 1】차종별 교통사고 발생건수
【표 2】의 이륜차 사고유형별 교통사고 내용을 살펴보면 차대차의 사고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차대사람의 사고인 횡단중의 사고가 전체의 19.7%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가장 높은 사고 구성비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이륜차의 경우 무단횡단 및 불법 유턴, 횡단보도로의 주행 등 교통법규 위반으로 인한 교통사고가 대부분임을 알 수 있다.
【표 2】이륜차 사고 유형별 교통사고
【표 3】의 이륜차사고 ★제 1당사자의 시간대별 발생건수를 분석해보면 오후 여섯시에서 여덟시까지가 전체 발생건수의 15.2%로 가장 많은 이륜차 교통사고 발생시간대로 나타났다
.그리고 년령층별 발생건수를 비교해보면 20세 이하의 이륜차 교통사고 발생비율이 단연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아무리 유용한 도구라 할지라도 잘못 다루면 위험한 도구가 될 수밖에 없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칼의 경우를 생각해보자. 유용한 도구이지만 사용하는 사람과 방법에 따라 엄청난 차이가 있지 않는가.... 모든 사고는 운전자 스스로가 유발하는 것이지, 결코 이륜차가 사고를 유발하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도 안전운전에 대한 의식이 바뀌어야 할 때이고 성숙된 이륜차 운전습관이 절실히 요구되는 때이다.
(자료제공:경찰청 제일화재)
【표 3】이륜차사고 제 1당사자의 연령층별-시간대별 발생건수
이륜을 바로 알아야 할것이다
'오토바이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의 헌법재판을 위한 시동을 걸었습니다 (0) | 2007.03.30 |
---|---|
국도와 고속도로 이륜차 (0) | 2007.03.30 |
이태리제 (0) | 2006.11.11 |
풍성하고 넉넉한 한가위를 보내세요~~^^* (0) | 2006.10.03 |
[스크랩] [추석인사] 회원님 안녕 하세요. (0) | 2006.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