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부족 가능국가인 우리나라에선 빗물도 유용한 자원이 될 수 있다. 시스템만 잘 갖춰진다면 빗물을 활용하여 물부족 해소, 저지대 홍수피해 경감 등 다양한 혜택을 볼 수 있다. 4일 서울시는 빗물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건축물, 주택, 도로, 주차장 등 모든 분야에 '빗물 가두고 머금기 프로젝트'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현재 땅속으로 침투되지 못하고 유출되는 빗물은 전체의 47%, 이는 도시화 이전인 1962년 9%의 5배가 넘는 수준이다. 62년 당시 40%에 이르던 빗물 침투율도 현재는 23%로 떨어져있는 상태. 전문가들은 이를 방치할 경우 하천의 건천화, 지반 침하로 인한 건물 침하 우려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 | | |
모아서 흘려버리기 위주의 현 빗물관리 정책을 가두고 머금는 선진형으로 전환
지속가능한 환경도시를 만들기 위해 서울시는 빗물을 최대한 가두고 머금기 위한 4가지 전략을 마련했다. 4가지 전략(for all four all)이란 가능한 모든(all) 빗물을, 가능한 다양한(all) 시설에 적용하여, 모든(all) 분야에, 모두가(all) 참여하도록 하는 정책을 말한다.
서울시는 이 전략으로 건축물ㆍ주택, 도로ㆍ주차장, 공원ㆍ산, 대규모 개발사업 등에 많은 양의 빗물을 가두고 머금을 수 있는 다양한 저류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건축물ㆍ주택 분야’에선 각종 건축 사업 및 뉴타운 등 대규모 주택개발 시 ▲빗물정원(볼록한 화단, 가로변 녹지 등을 오목한 지역으로 조성)이나 ▲식생수로(도로, 공원의 콘크리트 배수로를 식생형 수로로 조성) ▲저류지, 저류보, 소류지 ▲옥상녹화 ▲침투블록 등 다양한 빗물 관리시설을 조합해 설치한다.
또한 하수도 정비사업으로 폐쇄되는 정화조와 상수도가 공급되는 5층이하 건물의 지하저수조를 빗물이용시설로 전환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 사업은 ‘08년 시범사업을 추진 중이고 ’09년부터는 제도화될 예정이다.
‘도로ㆍ주차장 분야’에선 도로, 녹지, 교통섬 등을 블록형에서 오목형으로 조성하여 빗물이 고이고 스미도록 만든다. 이는 2009년 남산 주변 소월길 식생수로 조성 사업과 서남권ㆍ동북권 내 물환경 악화 지역에 적용된다.
또한 빗물을 표면에 흐르게 하여 실개천을 조성하고, 빗물 조형물 설치 사업을 서울거리 르네상스, 디자인 거리조성 사업, 도심속 실개천 조성사업 등에 반영한다. 특히 ‘08년 추진 중인 대학로 디자인 거리 조성사업에 빗물을 활용한 조형물, 실개천 조성 개념이 도입된다.
‘공원’에도 역시 빗물을 가두고 머금을 수 있는 오목형 빗물정원, 저류지를 적극 도입한다. 특히, ‘09~’10년에는 남산의 모든 콘크리트 배수로를 걷어내고 자연형 저류보, 소류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대규모 개발사업’시에는 계획단계에서부터 빗물관리계획을 고려하여 건축물, 도로, 주차장 등을 설계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09.2월부터 뉴타운, 재개발, 재건축 등의 사업에 이러한 사항을 반영한다.
이러한 정책이 실현되면 서울은 지하 생태환경 회복은 물론 물부족 해소, 하천 수질 개선 등에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도시 열섬화 현상 완화, 저지대 홍수피해 경감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