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벽 릿지

암벽등반시 주로 사용하는 용어해설

선릉교회 2008. 12. 21. 11:45



자일 매듭법
① 프루직 매듭
② 8자 연결 매듭
③ 이중 피셔맨즈 매듭
④ 옭 매듭
⑤ 8자 고리 매듭
⑥ 까베스똥 매듭
⑦ 반 까베스똥 매듭
⑧ 링 밴드 매듭

▶ 암벽등반이란
암벽등반이란 예전에는 등반의 목적을 두고 오르기 위한 기술 이였으며 그 기술을 연마 하기위하여 오르내림을 반복하며 훈련을 했었다.
그러나 요즘은 개념이 많이 바뀌었다. 예를 들어 거벽등반이나 여러 가지의 등반의 목적을 두는 것보다는 대부분이 클라이밍이 즐기는 스타일로 변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레저스포츠의 개념을 두고 있으며 남.녀.노.소. 구분없이 많은 사람들이 암벽등반을 즐기고 있으며 휴일이면 많은 사람들로 각 암장들이 붐비는 실정이다.

특히 예전에는 암장에서 여성 클라이머들을 보기 힘들었지만 최근엔 여성들이 약30%를 차지할 정도로 많이 즐기고 있다.
남성들은 환갑이 넘은 노년층도 클라이밍을 즐기고 있는 것을 보면 이제는 암벽등반은 명실공히 대중적인 레저 스포츠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암벽등반은 일반인들이 생각하듯이 위험하고 겁없는 특별한 사람들만 하는 행위가 아니다. 그저 평범한 일반인들이면 누구나 오르면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행위다. 암벽등반은 2명 이상의 등반조를 구성하여 선등자가 등반 할 때에 후등자가 확보를 봐주고 후등자가 등반 할 때는 선등자가 확보를 봐주면서 서로의 안전을 도모하면서 등반하게 된다.

이때 선등자는 등반 중 떨어졌을 때를 대비하여 확보물을 설치하거나 고정된 볼트 하켄 등을 이용하여 카라비너를 건 다음 로프를 통과시키면서 오르게 된다.
이는 등반 중 떨어 졌을때 떨어진 거리를 좁혀 줌으로서 등반자의 안전을 도모함이다.

따라서 암벽등반은 추락의 대해 아무 대비 없이 오르는 행위가 아니며 추락시 치명적인 사고가 뒤따르는 것 만도 아니다. 암벽등반은 특별한 경우에는 다르지만 대부분 개척이 된 암벽루트를 따라 등반하게 된다.
로프는 약 50-60m를 주로 사용하며 로프의 길이의 준해서 피치를 끊고 여러 가지의 확보물을 설치하거나 이용하면서 등반하게 된다.

피치(마디)를 끊는 곳에서 선등자와 후등자가 서로 확보를 봐 줄 수 있고 선등자와 후등자가 교대 할 수도 있으며 휴식과 장비 교환을 할 수 있는 곳으로 이곳을 한 마디라고 생각하면 된다.
암벽등반은 처음에는 누구든지 당황하고 고도감을 느끼며 경사가 급할수록 공포심은 더 커진다. 그러나 처음부터 한 단계씩 난이도를 높여가며 등반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고도감과 공怠??적응하게 된다.

암벽등반은 무엇보다도 오르겠다는 의지와 자신감이 있어야 한다 자신감과 의지가 약하면 아무리 좋은 기술을 가지고 있어도 오르지 못할 것이다 등반에 임할 때는 항상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자만하지 않고 정석대로 한다면 암벽등반의 묘미와 오르는 기쁨을 충분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처음부터 너무 어려운 루트를 선택하거나 과소 평가하여 무리한 등반을 하게되면 추락에서 오는 공포심과 그로 인한 의욕 상실로 오르는 기쁨을 느낄수 없게된다.
따라서 자기 실력에 맞는 적당한 루트를 선택하고 항상 겸손한 마음 자세로 임해야 하며 타 등반자들에게도 모범적인 행동을 해야한다

"흔히 들 암벽등반을 왜 하느냐고 묻는다"......
하지만 딱 한마디로 대답 하기엔 너무나도 느낌이 많다.
가장 먼저 군살이 빠지고 운동량이 많아 건강이 좋아진다.
암벽등반을 할 때에는 정신 집중을 하기 때문에 정신 건강이 좋아진다.
특히 의지력이 약하거나 배짱이 없는 사람에게는 인내심을 길러 준다.

암벽등반은 긴장감 속에서 어렵고 힘들게 오르기 대문에 오른뒤 그 쾌감은 더 크다.
암벽등반은 대상지가 산 이기 때문에 신선함이 더욱 즐겁게 한다. .
대부분 일반인들은 막연하게 '위험하다'.'두렵다' 는 등으로 암벽등반을 겁을 내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 정확하게 배워서 무리한 등반을 하지 않으며 정석대로만 한다면 사고가 날 염여가 없으며 재미있는 암벽등반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암벽등반은 누구나 할 수 있다. 암벽등반은 안전하다. 암벽등반은 강인한 체력과 힘을 길러준다. 암벽등반은 강인한 정신력을 길러 준다. 암벽등반은 인내심과 배짱을 길러 준다. 암벽등반은 자연과 함께 여유를 갖게 한다. 암벽등반은 욕망과 성취감을 느끼게 한다.

○ 용어해설
기어랙 (gear rack) : 암벽등반시 암벽 장비를 휴대할 수 있는 슬링으로 만든 어깨걸이.
너트(nut) : 바위의 갈라진 곳에 끼워 넣어 지지력을 얻는 암벽 장비. 크랙의 입구쪽이 좁아지거나 돌기가 있어야 지지력을 얻는다.
레이백 (lay back) : 바위 모서리나 크랙에서 두손으로 잡아 당기며 발은 밀어주고 올라가는 자세.
루트(route) : 등반시에 올라가는 루트는 등반을 시작하여 끝나는 지점까지이다.
루트 파인딩 (route finding) : 자신이 가야 할 방향을 정하는 것 암벽빙벽등반에서 먼저 눈으로 홀드와 얼음 상태를 파악하여 기술 사용을 하기 위한 사전 행위.
리딩(leading) : 선등자가 되어 등반하는 것.
아이스바일(ice Beil) : 빙벽등반시 얼음에 찍고 올라가는 손도구.
보울더링(bouldering) : 작은 바위를 로프나 장비 사용없이 맨몸으로 오르는 행위.
빌레이 (belay) : "확보" 등반시 선등자 확보, 후등자 확보, 자기 확보 3가지가 있다.
스미어링 (smearing) : 발을 문질러 디딤. 주로 슬랩 등반에서 많이 이용된다.
스테밍 (stemming) : 넓은 침니나 코너의 바위면에 손과 발을 벌려 디디며 지지력을 얻어 올라가는 자세.
스텐스(stance) 암벽등반에서 비교적 큰 홀드, 두 손을 놓고 설 수 있는 발 디딤 자리를 말함.
슬랩 (slab) : 약 70도 이하의 완만한 경사로 이뤄진 반반한 바위.
아이스 피톤 (ice piton) : 빙벽등반 중에 확보물로 쓰이는 장비.
어프로치 (approach) : 가까이 접근한다. 교통 수단이 없어진 지점에서 등반지점까지의 거리.
에징(edging) : 바위면의 미세한 돌기(풋 홀드)를 암벽화 바닥의 가장자리로 디딤을 말한다. 주로 페이스등반에서 이용된다.
연장등반 : 계속 등반을 하여 목표한 루트를 오르내리며 연속으로 등반하는 것.
오버행(overhang) : 암벽의 경사가 90도(수직) 이상 되는 곳.
오포지션(opposition) : 손과 발을 밀고 당기는 자세를 취하여 지지력을 얻는 자세.
잼밍(jamming) : 바위의 갈라진 틈(크랙)에서 신체부 즉, 손과 발, 팔 등을 끼워 넣어서 뒤틀거나 힘을 가해서 지지력을 얻는 행위.
촉스톤(chockstone) : 바위의 갈라진 곳이나 바위와 바위의 사이에 끼어있는 돌.
침니(chimney) : 바위의 갈라진 틈이 넓어서 몸이 들어가서 등반할 수 있는 곳.
카라비너(carabiner) : 등반시 확보물과 볼트에 사용되며 로프를 통과시킬 수 있게 개폐구가 있는 금속고리
코스(course) : 루트, 길
크랙(crack) : 바위의 갈라진곳.
크럭스(crux) : 루트등반 중에 가장 힘들고 어려운 지점.
클라이머(climber) : 등반자.
클라이밍(climbing) : 암벽빙벽등반.
테라스(terace) : 등반중에 비교적 자유로이 바르게 설 수 있는 넓은 곳.
트래버스(traverse) : 등반 중 횡단하는 것.
펌핑 아웃 (pumping out) : 등반시 힘을 모두 사용해서 더 이상 힘을 쓸 수없는 상태.
페이스(face) : 80~90도 정도 되는 급경사의 바위.
프렌드(friends) : 암벽등반시 바위의 갈라진 틈에 끼워 넣어서 지지력을 얻는 암벽 장비. 크랙의 면이 돌기가 없고 매끄러워도 지지력을 얻는다.
프론트 포인팅 (front pointing) : 빙벽등반시 아이젠의 앞 포인트를 이용해서 얼음벽에 발로 차서 박히게 하여 올라가는 등반 자세.
프리 클라이밍 (free climbing) : "자유 등반". 등반시 장비와 확보물에 의지하지 않고 오르는 행위.
프릭션 (friction) : 암벽등반시 바위와 암벽화 사이에 일어나는 마찰력을 말한다.
피치 (pitch) : 전문 등반에서 피치는 한마디, 마디라고 생각하면 된다. 암벽등반에서는 50내지 60미터의 로프를, 빙벽등반에서는 60-100미터의 로프를 사용하므로 로프의 길이에 준해서 사용되고 있다.
피켈 (pickel) : 빙벽등반시 찍고 올라가는 손도구. 워킹시에는 지팡이로 그밖에 여러가지로 많이 사용된다.
하네스(harness) : 안전 벨트
하드프리 (hard free) : 자유 등반에서 난이도가 높은 것을 말함. 등반자 각 개인의 최고의 난이도를 자유등반하는 것.
홀드(hold) : 손과 발로 사용할 수 있는 바위. 면의 돌기 부분.
후킹(hooking) : 등반 중 자기 어깨 높이 이상의 홀드를 발뒷굽치를 걸어서 사용하는 방법. 자유등반에서 페이스나 오버행 등반시 많이 이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