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

등산 이란 4

선릉교회 2008. 12. 3. 18:27

1. 우리나라의 산악관

숭천숭산, 건국신화, 원시신앙, 풍수지리, 은둔사상

2. 등산 역사

* 고 대
- 고조선의 영토확장
- 고선지 장군의 힌두쿠시 원정
- 화랑도 수련 - 혜초의 중앙아시아 순례

* 근 대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제작
- 정철, 김삿갓, 금강산기, 백두산기, 한라산기

* 일제하의 산악운동(현대적 등산의 시작)
- 조선산악회, 백령회의 산악활동
- 암벽루트 초등


* 해방 후의 활동
- 한국산악회 창립
- 학술탐사
- 대학/고교산악부의 창립

* 1960년대 : 초등반시대, 해외원정의 시작

* 1970년대 : 일반산악회 창립

* 1970년말 : 요세미티식 등반, 프리클라이밍 도입

* 1980년대 : 해외원정 등반의 활성화

* 1990년대 : 등반활동의 다양화, 스포츠클라이밍, 하드프리등반, 소규모원정등반









1. 알피니즘의 발달

① 등정주의(Peak Hunting)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한 정상등정의 목적 (18-19세기)

② 가이드레스(Guideless)
가이드의 도움이 없는 등반에 더 큰 가치를 인정(19세기 중반)

③ 등로주의(Mummerysm)
단순한 정상 등정의 가치보다 얼마나 더 어렵고 새로운 루트로 등반했는가를 더 중요시 함. (19세기말) - A.머메리에 의한 머메리즘의 창시 '좀 더 어렵고 다양한 루트로의 등반(More Difficult Variation Route)'

④ 곡예등반(Acrobatic Alpinism)
등로주의로 부터 비롯된 암벽등반기술의 발달시기(20세기 초)

⑤ 북벽등반 머메리즘과 암벽등반기술.
장비의 발달을 바탕으로 알프스의 험난한 북벽을 등반하던 시기(1900년-1940년)

⑥ 직등주의(Direttissima)
머메리즘을 극한으로 추구하기 위해 대암벽을 직선으로 오르는 것을 추구하던 시기(1950-1960년대) - 인공등반의 발달

⑦ 고산등반
히말라야를 비롯한 6,000m - 8,000m의 고산등반 원정시대 (20세기초-)

⑧ 크린 클라이밍
미국 요세미테 지역에서 오르려는 목적만으로 암벽에 무분별하게 사용하던 피톤과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등반하려는 정신(1970년대)

⑨ 프리 클라이밍
인공적인 장비등에 의지하지 않고 오직 인간의 능력만으로 암벽을 오르는 스타일 (1975년 이후)

⑩ 인공암벽과 등반경기
훈련의 목적으로 인공암벽이 세워지고 암벽등반을 스포츠화하여 인공암벽에서의 우열 경쟁 (1980년대)

2. 등반의 발달.변천사

① 몽블랑 초등 - 마터호른 초등까지 (황금시대)
* 1786년 : Michel Paccard와 Jacque Balmat의 몽블랑(4,807m) 초등
* 1760년 - 1800년 : 여명시대
* 1800년 - 1840년 : 개척시대
* 1840년 - 1865년 : 황금시대 - 마터호른을 제외한 모든 봉이 등정됨.
* 1865년 : 최후의 처녀봉 마터호른(Matterhorn;4,478m)이 에드워드 윔퍼(Edward Whymper
)에 의해 초등됨.

② 알피니즘의 광역화와 은의 시대
* 가이드레스(Guideless)등반의 시작
* 알프스지역을 벗어난 코카서스, 남미, 북미, 히말라야등의 등반
* A.F.머메리(Albert Fredelic Mummery)의 바리에이션 루트로의 등반 주창 - 머메리즘

③ 철의 시대와 머메리즘의 개화
* 암벽등반기술.장비의 발달
* 북벽등반
* 동계등반

④ 히말라야 등산의 시작과 네셔날리즘(Nationalism)
* 히말라야 8,000m급 고산등반의 시작
* 영국/독일/프랑스/미국등 산악선진국의 거국적 초등경쟁
* 히말라야지역의 황금시대

⑤ 전후 알프스지역의 등반변화
* 디렛티시마(직등주의)
* 동계 북벽등반
* 단독등반, 시간단축

⑥ 히말라야 은의 시대와 바리에이션 루트의 초등
* 1970년 안나푸르나 남벽 초등
* 1975년 에베레스트 남서벽 초등

⑦ 1980년대 히말라야에서의 알파인 스타일 등반과 철의 시대
* 단독등반
* 무산소 등반
* 동계 등반
* 벽 등반
* 알프스등반 방식에 의한 소규모 속공등반
* 연결/종주 등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