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강 시 줄을 놓쳐 추락하는 경우 종종 보아 왔습니다. 한줄 또는 두줄 하강 시 줄을 놓쳤을 경우에 대비해 Backup system
을 구축하면 이를 방지 할 수 있으나 그동안 하강 시 백업장치를 사용하는 사람을 주변에서 거의 보지 못했습니다.
Backup System으로 Autoblock 매듭을 사용하면 하강 도중 줄을 놓아도 되고 매달린 채로 다른 작업도 할 수 있습니다.
프르직 매듭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오토블록 매듭을 하면 더욱 간단합니다. 주의할 점은 매듭이 하강기에 닿지 않게 길이를
짧게 하여야 제동이 됩니다. 사진과 같이 해보시기 바라며 하강 시 항상 이런 습관을 가지면 만수무강에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배낭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등에 지지 말고 안전밸트의 하강고리에 매달고 오토블록 매듭을 이용하여 내려오면 몸의
균형이 깨지지 않아 편하고 안전하게 내려올 수 있습니다.
8자 하강기의 새롭고 안전한 하강법중의 하나.
- 8자 하강기의 장점을 말한다면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그 중 몇가지만 알아보자.
- 고장이 없고 기계적인 작동부분이 없기때문에 다루기 쉽고, 비교적 싸서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 하강용으로 쓰일뿐 아니라 선등자나 후등자의 빌레이 장비로 사용 한다. 암벽등반가에게 쓰이는 장비중 하나다.
오른손은 "제동손" 왼손은 "감지손"의 법칙에 따라 아래 그림의 손 위치를 반대로 걸고 하강해봤습니다. 결과는 만족이었습니다.
등강기 & 하강기 사용법
1. 션트 사용 하강법.
2. 리보소 하강법
1. 잠금비너가 3개가 필요. 슬링을 이용 하강기를 장착하면, 2개 잠금비너만 있으면 됩니다.
2. 기본적으로 리버소를 사용했을때 입니다. 3. 외줄하강때 왼쪽 기본적인 사용법 오른쪽 갈수록 더 많은 하중이 걸립니다.
- 하강은 튼튼한 확보물이 있는 곳에서(절대 안전한 곳에서)
• 나무 : 썩은 나무는 위험, 밑둥에 슬링을 건다
• 암각 : 슬링이 빠질 염려는 없는지 확인
• 피톤, 하켄, 볼트 : 썩었는지 확인, 슬링 확인
- 하강 준비를 할 때에는 반드시 자기 확보부터 하고 나서 하강 준비를 한다.
- 초보자들이 대개 출렁거리며 하강을 하는데 이는 손으로 자일을 조작하여 잡았다 놓았다 하면서 하강하기 때문이다.
- 체중을 자일에 의지하고 발로 몸을 밀어주며 물 흐르듯 하강해야 한다.
- 하강기에 거는 카라비너는 잠금 장치가 되는 것이 안전하며 하강기에 자일을 걸고 하강기에 몸을 완전히 의지하고
나서 자기 확보줄을 회수하고 하강을 시작해야 한다.
- 손의 위치는 오른손잡이의 경우 아래로 늘어뜨려져 있는 자일을 오른손으로 잡고 그 손으로 제동과 속도 조절을 한다.
- 나머지 한 손은 하강기 바로 밑부분을 잡아 주면서 하강기의 뒤틀림과 보조 제동시 사용한다.
- 왼손잡이의 경우는 밑의 자일을 왼손으로 잡고 제동과 속도 조절을 한다.
- 하강중 넘어지더라도 절대 밑의 자일을 잡고 있는 손을 놓으면 안 된다.
- 뒤쪽의 자일을 놓는다면 제동이 될 수 없으며, 자유 낙하하므로 위험하다.
- 다시 한번 강조 한다면, 하강시 급하게 서두르지 막고 고속으로 내려가도 안 되고 점프나 출렁거려서도 안 된다.
- 고속으로 1회 하강시의 마찰열로 인한 자일의 훼손은 대단함을 명심하고 침착하고 물 흐르듯 매끄럽게 자일에 의지하여
하강해야한다.
- 옷이나 머리카락 등이 하강기에 끼지 않도록 주의하며, 하강기는 늘 안전(잠금) 카라비너(링카라비나)와 같이 사용한다.
- 외줄로 하강할 때는 8자 하강기의 작은 구멍에 자일을 끼워 사용한다. 줄을 한번 꼬아서 하강기에 설치한다.
- 연속하강 (2피치 이상 하강)시 제일 먼저 하강한 사람이 회수할 줄을 하강용 링이나 피톤에 연결하여 양끝을 묶는다.
- 다음 사람부터는 확보줄을 하강용 줄에 통과시키고 하강한다.
◈ 회수해야할 줄이 어느 것인지 숙지하고 하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