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

모 카페에서 뱀에게 물렸을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란 질문에 답변했던 내용입니다^^;;

선릉교회 2008. 10. 31. 17:42

모 카페에서 뱀에게 물렸을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란 질문에 답변했던 내용입니다^^;;

 

여름철 캠핑을 다니다보면 간혹 반갑지 않은 상대를 만나기도 하죠?...

 

뱀... 아마 좋아하는 사람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보양을 위해 찿아다니는 사람 빼고^^;;)

 

예전에 기본으로 교육 받았던 내용을 생각해가며 두서없이 썼습니다^^;;

 

그래서 틀릴수도 있어요... 참고만 하세요^^;;; (혹시 전문가 있으시면 댓글에 고쳐주시고요)

 

우리나라에 있는 독사 종류는 살모사과로(쇠살모사/불독사/칠점사 등등) 종류만 있는걸로 압니다^^;;

 

일단 독사에 물리면 따끔하고 무척 아프다고 합니다...그리고 물린자리에서 피도 많이나오고...

금방 부어오르고 멍든것 처럼 보이기도 하고요... 통증이 아주 심하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한시간이내 병원으로 가지 못하면 생명까지도 위독 할수도 있다고하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일단 병원에 가서 항독소 맞고 독을 제거한다 하더라도 몇일간 통증이 심하다고 하니 고생은 되겠죠?

 

응급처치 방법으로는...

 

보통 뱀에게 물린부위에서 10~15cm 위지점에 피가 더이상 안통하게 끈으로 묶고 이빨자국 부위를 1~2cm 십자가

모양으로 절개를 한후 독을 빨아내야 하는데...

여기서 주의 할점은 입안에 상처가 있거나 충치가 심한 사람이 하면 안된다는것 입니다...(자살행위죠^^)

독을 제거할 때는 입안에 상처가 없는 사람이 하되 알콜류(양주/소주, 맥주나 막걸리는 말고--;;;)를 한모금 마셔

입안에 술이있는 상태에서 빨라고 하더군요

그리고 빨때는 강하게 빨아내고...한 10여회 한후 병원으로 후송 시키고 입으로 빤 사람 역시 입안 세척을

깨끗이해야 합니다(당분간 침을 삼키지 말고요^^..찍~하고 밷으세요)

군에서는 뱀에게 물리면 헬기로 후송합니다^^

 

그리고 1시간이내로 병원에 도착하면 살수 있다고 하더군요(그런데 항독소가 없는 병원이라면...-.-)

우리나라 독사류는 모두 혈액독이기 때문에 모든세포를 파괴시켜 통증이 심한반면

뱀중에 가장 강한 독을 갖고있는 코브라는 신경독이라 물리면 고통이 없다고는 하지만

마취가 되면서 서서히 죽어 간다고 합니다(어짜피 죽는다면 신경독이....--;;)

 

단,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독사중 칠점사(유일하게 신경독)란 독사는 물린후 일곱발자국을 가면

죽는다고 하죠???(여섯 발자국만 간후 절대 움직이지 마세요^^;;;)

 

그리고 보통 무식한 사람들이 독사를 잡아서 이빨을 뽑고나서 갖고 놀면된다고 하지요?

그렇게 해보라고 하세요^^;;;...

독사는 이빨이 뽑혀도 얼마 지나지 않아 새로운 이빨이 나옵니다(명심...^^)

 

또다른 응급처치법....

 

뱀에게 물리면 자기를 물어버린 뱀을 잡으세요...

그리고 그뱀의 몸통을 직접 꽈악 물어버리세요... 그런후에 뱀의 꼬리를 잡고 머리위로 높이쳐들고

오른쪽으로 빙빙 5번을 돌린후 땅바닥에 패대기를 치고나서 발로 뱀의 머리를 3번(2번이나 4번은 안됨) 팍팍 밟고

침을 퉤퉤 밷고나서 "에이 내독 가져가라" 라고 뱀을 보고 소리치세요... 그럼 된다고 합니다 --;;

(믿거나 말거나... 농담인거 아시죠? ^^)

 

독사에게 물리면 이빨자국이 : 2개(머리가 삼각형)

일반뱀에게 물리면 이빨자국이 : 여러개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뱀의 종류는 능사, 유혈목이(꽃뱀), 물뱀(실뱀), 구렁이류 가 있는데

특히 유혈목이는 대부분 독이 없다고 생각하시지만 천만에요 강한 독은 아니지만 약간의 독이 있다고합니다

특히 늦가을에  물리면 물린부분이 많이 부어오르고, 심하면 고름도 생긴다고 하네요^^

하지만 어금니에 있는 독은 살모사보다 강하다는 말도 있습니다...

 

무조건 뱀은 피하는게 상책이라 생각합니다

 

혹시 잡아드시고 싶으신분은... 이렇게 하세요^^

일단 뱀을 잡아 죽이고나서 목부분을 껍질을 약간 절개해서 껍질을 잡고 쭈~욱 잡아당기면 껍질이

꼬리까지 그대로 벗겨집니다^^;;;

그런후 내장을 제거한후 뱀을 들고 태양에 비추어보면 내장이 붙어 있던 지점에 사충이 움직이는게 보일겁니다

사충도 모조리 제거하세요^^...그런후 싸리나무 같은 막대기에 칭칭 감아서 불에 구워 드시면 됩니다^^;;

 

 

 

다음은 뱀의 종류입니다 (사진만 봐도 별로 기분이..싸늘합니다)

    노약자나 어린이, 임산부는 보지마세요^^

 

* 일 반 뱀

 

구렁이 종류...

구렁이는 우리나라 뱀 가운데 가장 큰 종류로서 민가 주변에서 쥐를 잡아먹고 살기 때문에 우리에게 신성하게

잘 알려져 있고, 보호를 받으며 지내왔으나 지금은 많이 남획되어 멸종위기에

처해있어 환경부에서 멸종 위기종으로 선정 보호하고 있습니다 .

구렁이는 몸색깔의 변이가 심하여 검은 색이 많으면 먹구렁이 황색이 짙으면 황구렁이라고 부르며 길이는

보통 1m 정도고 암컷이 수컷보다 큼니다.(보통뱀은 암컷이 수컷보다 크죠)

 

 황구렁이

 

능구렁이

몸은 붉은 색이고 검은색 무늬가 나있어서 우리나라 뱀 가운데 비교적화려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크기는 70-120㎝정도이고 야행성이라 눈동자는 타원형이며 성질은 사나운 편이지만 독이 없으므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먹구렁이(?)

 

 

백사(구렁이의 돌연변이라고 하죠^^)

 요즘도 비싼지 모르겠습니다??? (몸에 좋다고 하던데..--;;;)

 

 

 

* 독 사

 

살모사

몸색깔은 보통 붉은 색이나 검은 색이 감도는 갈색이고 검은 테두리를 가진 무늬가 있으며 비늘에는 모두 돌기가 있어

만지면 벼이삭처럼 까끌까끌합니다.

배는 검은 편이고 몸은 얼룩무늬... 살모사의 특징인 혀는 검은색이며 또 야행성이라 눈이 타원형입니다

크기는 45-50㎝이며 암컷은 이보다 조금 크고 몸통은 짧은 듯 통통하게 보이며, 꼬리가 짧은게 특징입니다.

머리가 삼각형인 독사의 특징도 갖고 있죠...

 

쇠살모사

쇠살모사는 살모사와 유사하나 몸통이 가늘고 혀는 붉으며 꼬리 끝은 검은색을 띄고 있으며 몸색깔은 주로 붉은색과

오렌지색이 섞여있으나 간혹 흑갈색을 띄는 것도 있습니다.

 

까치 살모사(일명 칠점사)

몸은 회색을 띄는 황색 바탕에 갈색의 검은 테두리가 있는 몸통의 가로무늬는 쇠살모사와 유사하나 좀더 색깔이 뚜렷하고

무늬의 수도 많고 배에는 검은 바탕에 대리석상의 흰무늬가 있습니다.

크기는 50-65㎝로 살모사과중에 가장 크고 굵으며 독성이 아주 강합니다^^;;;

 

 

 

유혈목이(일명 꽃뱀, 화사)

유혈목이는 일반적으로 몸은 녹색을 띄고 검은 무늬가있으며 목 주변엔 주황색의 다소 화려한 무늬가 있으나 색깔의 변이가 심합니다.

몸길이는 대략 70-80㎝정도이고 따뜻한 남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져 1m가 넘는 것도 있다고 하던데.....

별것도 아니면서 화가 나면 코브라 처럼 목부분을 납작하게 하고 상체를 곧게 세워 위협하기도 하고요

특히 이 뱀은 독이 없다고 많이 알려져 왔으나 최근에 밝혀지기론 뱀의 어금니쪽의 이빨에 독이 있고,

그 독이 살모사보다도 더 강력한 출혈독을 가지고 있다고 하니 뱀을 만났을 때 각별히 주의 하셔야 합니다...

단, 어금니 깊숙히 물릴 확률이 적다고는 하더군요^^;;

 

 

실뱀(또는 물뱀)

등은 회갈색이고 머리에서 꼬리까지 아름다운 황백색의 중앙선이 등 가운데에 뚜렷하게 나 있다.

배는 황색을 띄고 검은 점무늬가 있고 꼬리는 가늘고 길며 동작이 민첩하여 우리나라뱀 가운데 가장 빠르다고 합니다.

특히 이뱀의 주특기는 사람을 잘문다고 하니 개울가나 논둑 이동하실때 조심 하세요^^

 

사진보고 뱀의 종류를 참고하세요 ^^v

 

아~그리고 구렁이는 한번 물면 잘 놔주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럴때는 손가락으로 이마빡 때리듯이 막 때리세요...--;;

 

그래도 물고있으면

 

그냥 같이 물어버리세요... 그럼 "아야"하고 입벌립니다...

 

그리고 산행하시다가 뱀에게 물렸을 경우 움직이지 마시고

 

119에 연락하세요...아마 헬기가 지원될 겁니다^^

 

그런데 혹시 독사도 아닌 일반뱀에게 물린후

 

 119에 헬기 요청하시면...

 

나중에 뒈지게 두들겨 맞는다는것 명심하세요^^

'등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중 산행  (0) 2008.11.09
무등산  (0) 2008.11.07
Re:급성 저체온증 환자 발생시 조치요령  (0) 2008.10.31
구급약품 준비와 응급처치  (0) 2008.10.31
♣저체온증  (0) 2008.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