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 도 법" 강좌
독도법 - 1. 지형도 이 따위로 생기다.
독도법에 대해 쥐뿔도 모른다.
그러니 딴지 걸지 말라!! 물론, 질문은 언제나 환영이다.
단지, 내가 아주 조금 알고 있는걸 나누고 싶어서 올린다.
독도법은 너무 어려운 말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도 모르는 말이 더 많다.
하지만, 나는 필요한 것만 쉽게, 좋은 사람들에게 배웠다.
거기에 대한 보답으로 이렇게 정리해 본다.
어쭙잖아 보여도 꽤나 공들여 만들었다.
만약 퍼간다면, 퍼간다는 말이라도 남겨두길 바란다.
1. 지형도 이 따위로 생기다.
비교급으로 둔것은 음악 씨디이다.
대땅 크지 않은가!! 물론, 산에 가져 갈때는 잘 접어서 가져 가야 한다.
1:50,000의 부산 지형도이다.
등산 지형도로는 1:25,000과 1:50,000의(축적비율) 지형도가 많이 쓰인다.
2. 지형도 1:25,000과 1:50,000의 차이
아래 사진의 1:50,000 지형도에서 빨간색 부분을 (1:50,000지형도의 1/4)
다시 원래 지형도 크기만큼 늘여놓은것이 1:25,000의 지도이다.
그러니깐 1:25,000이 훨씬 세밀하게 보여준다는 말이다.
참고 - 결정적으로 1:50,000의 지형도를 더 많이 보는 이유는
지도 장수가 작고(1:25,000보다) 넓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지도 한장 가격은 3,100원 - 10장이면 31,000이다. 정맥 한번 뛰면 허리 휜다.^^
개인적으로 정맥과 자주 안가지만 유명한산은 1:50,000으로
자주 갈 듯하고 유명한 산은 (지리산, 금정산등) 1:25,000으로 가지고 있다.
3. 지형도 자세히 보기
1:50,000의 부산 지도를 가까이서 본 것이다. (금정산 - 상학산과 2망루쪽)
산에 가기전 이렇게 갈 길을 형광펜으로 표시해 둔다.
참고로, 이 지도는 무지 깨끗한 편이다.
다른 지도에는 방위각, 주의할 점 등으로 무지 지저분하다.
지형도를 어찌 보는지에 대해서는 차차 설명하겠다.
우선, 어찌 생겼는지만 보아 두길 바란다.
'등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도법 - 3. 등고선 녀석의 높낮이 (0) | 2008.12.03 |
---|---|
독도법 - 2. 지형도에서 당췌 북쪽이 어디요?! (0) | 2008.12.03 |
나침반의 역사와 원리 (0) | 2008.12.03 |
지형도란? (0) | 2008.12.03 |
지도의 정의 (0) | 2008.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