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고리 옭 매듭
주의: 매듭 강도가 약하고, 충격에 꽉 조여지면 풀기 어렵기 때문에 등반로프를 묶을 때는 잘 쓰지 않는다.
3. 되감기 옭 매듭
테이프 슬링을 연결할 때 사용한다. 힘을 가하면 가할 수록 조여드는 장점이 있으며 주로 슬링 묶을 때 사용된다. 만드는 법은 먼저 한 테이프 슬링의 한쪽 끝부분에 옭매듭을 느슨하게 한 다음, 다른 한 끝으로 '되따라 들어가기'를 한다.
이 매듭은 등반중 느슨해지지 않았는지 자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되감기 매듭, 혹은 링 밴드(Ring Band) 매듭이라고도 한다.
용도: 웨빙 슬링으로 연결줄을(sling) 만들 때 쓰는 매듭이다.
주의: 시간이 흐를수록 풀어지기 쉽기 때문에 매듭을 할 때 아주 단단히 조여야 하며, 쓰기 전과 쓰는 중에도 매듭이 풀리지 않았나 자주 살펴야 한다. 그리고, 매듭의 두 끝은 항상 4~5cm 정도 여유를 남겨 놓아야 한다.
5. 사각매듭(square knot)
주의: 로프 두 끝 부분이 꼭 같은 쪽에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반대방향에 있으면 작은 움직임에도 매듭이 쉽게 풀어질 위험이 있다. 양 끝을 옭 매듭으로 마무리 한다.
6. 쉬트 벤드(sheet bend)
주의: 끝은 꼭 옭 매듭으로 마무리해야 한다.
7. 이중 쉬트 벤드(sheet bend)
주의: 끝은 꼭 옭 매듭으로 마무리해야 한다.
8. 아카데미 매듭(academy knot)
용도: 굵기가 서로 다른 두 줄을 이을 때 쓰는 매듭이다. 사각 매듭과 비슷하지만 가는 줄을 한번 더 돌려 매듭을 해야 한다. 겨울철에는 로프가 얼어 매듭이 잘 풀리지 않는데 아카데미 매듭은 매듭을 쉽게 풀 수 있는 좋은 점이 있다.
주의: 끝은 꼭 옭 매듭으로 마무리해야 한다.
9. 이중 피셔맨즈 매듭(fisherman’s knot)
어부들이 낚시줄을 이을 때 사용한다는 매듭법인데, 자일과 자일을 연결할 때 주로 사용하는 연결 매듭이다. 한번씩 감으면 피셔맨, 두번씩 감으면 이중 피셔맨 매듭인데, 이 매듭의 장점은 매듭 하기가 쉬우며 한번 매듭을 지어 힘을 가하면 가할수록 단단하게 조여지는 장점이 있는 반면, 사용 후 쉽게 풀리지 않는 단점이 있다.
굵기가 작은 롤(코드) 슬링을 매듭할 때에 적합한 매듭으로서 보조줄로 고리를 만들 때나 긴 하강을 위해 두개의 줄을 이을 때 사용한다. 하지만 하강용 자일을 연결할 때는 이 매듭보다 8자 연결매듭을 사용하는 편이 낫다. 매듭을 한 후 끝줄의 여분이 짧을 경우 풀릴 위험성이 있으므로 끝줄을 5-16cm 정도 남기는 것이 안전하다.
10. 고리 8자 매듭(figure 8 loop)
용도: 로프 중간을 등반자의 안전벨트에 걸려있는 잠금 카라비너에 걸 때 많이 사용된다.
장점: 안전벨트가 없을 때, 직접 몸에 연결할 때, 줄의 가운데에 맬 때, 확보물에 고정 시킬 때 사용하는데, 매기가 간단하며 안전도가 높고 충격에 강하다. 강도가 가장 강한 매듭으로 큰 충격을 받은 다음에도 쉽게 매듭을 풀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점: 매듭이 크고 복잡하며 매듭 조정이 번거롭고 줄의 길이가 많이 소요된다.
강도가 높고 보울라인 매듭보다 잘 풀리지 않아 등반용 주자일을 안전벨트에 직접 묶을 때 (카라비너없이) 사용한다. 우선 자일 한겹으로 8자매듭을 만든 후, 자일의 끝 부분을 되따라 들어가면, 8자고리 매듭과 같아지는데, 물론 되따라 들어가기 전에 안전벨트의 고리 속을 통과해야 된다.
용도: 로프의 한쪽 끝을 안전벨트에 바로 묶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나무나 움직이지 않는 확보물에 로프를 직접 묶을 때도 많이 쓰인다.
장점: 충격을 받아 조여진 다음이나 얼어붙었을 때도 풀기 쉽다.
강도가 높고 보울라인 매듭보다 잘 풀리지 않지만 매기가 번거롭고 매듭을 조정하기가 힘들다.
12. 로프 연결 되감기 8자 매듭
먼저 A 자일의 한쪽 끝부분에 한가닥의 8자 매듭을 느슨하게 만든다. 그 다음 B 자일의 끝으로 "되따라 들어가기"를 한다. 이렇게 하면 두 자일이 서로 물고 물리면서 안전하게 하나의 자일로 연결된다. 주로 하강용 자일을 만들 때 사용하는데,8자 매듭의 장점을 유감없이 보여주는 매듭이다.
용도: 로프 두 줄을 이을 때 가장 많이 사용한다. 주로 하강용 자일을 만들 때 사용한다. 하강후 이중 피셔맨 매듭보다 풀기가 수월하다.
장점: 충격을 받아 조여진 다음이나 얼어붙었을 때도 풀기 쉬운 장점이 있다.
13. 이중 되감기 8자 매듭
단점: 매듭이 복잡하고 로프가 많이 들어 자주 쓰는 매듭은 아니다.
14. 보우라인 매듭(bowline knot)
매듭 중 가장 잘 풀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장점은 고리의 조절이 쉽고 매듭 후 조여들지 않으므로 벨트없이 자기 몸에 직접 묶을 때 사용하면 적합하다. 따라서 워킹산행 시 곧바로 자기 몸에 묶을 때 적합하며 정상적인 등반에서는 사용치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주자일을 안전벨트에 묶을 때 이 매듭을 쓰는 이들이 있으나 8자 되감기 매듭이 더 안전하다. 쉽게 조일 수 있으나 줄이 뻣뻣할 경우 풀릴 수 있기에 줄 끝의 여분으로 반드시 옭매듭을 해준다. 또한 그림처럼 고리 부분을 이중으로 묶어 매듭부분을 보강할 수 있다.
용도: 로프의 한쪽 끝을 이용해 몸에 직접 묶을 수 있는 매듭이다. 매듭을 한 상태에서는 로프를 강하게 당겨도 고리 부분이 조여들지 않기 때문에 몸에 직접 묶어도 허리나 가슴이 조여지지 않는다. 간이 안전벨트를 만들만한 웨빙슬링이나 안전벨트가 없을 때 짧은 바위능선을 안전하게 오르내리기 위해 사용하나, 긴 거리용으로 사용하면 위험하다.
그 외 로프의 한쪽 끝으로 나무나 움직이지 않는 확보물 따위에 로프를 바로 묶을 때 사용한다.
주의: 매듭이 헐거워져 잘못 뒤집히면 매듭이 쉽게 풀릴 수 있어 정확하게 매듭하고 로프 끝은 꼭 옭 매듭으로 마무리 해야 한다.
안전밸트에 묶을 때 보울라인 매듭보다는 8자 매듭이 더 낫다.
16. 이중 보우라인 매듭(bowline knot)
주의: 자주 쓰는 매듭은 아니다.
17. 방법을 달리한 보우라인 매듭(bowline knot)
19. 에반스 매듭(evans knot)
자일 끝을 이용해서 고리를 만드는 매듭으로 자일을 당기면 고리가 조여 들고, 풀 때는 고리에서 카라비너를 빼낸 다음 긴 쪽 자일만 당기면 매듭이 저절로 풀리는 특징이 있다.
나무 밑둥 등에 자일을 돌려 묶을 때나 안전벨트에 줄을 연결할 때 사용한다. 풀기가 쉽고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충격이 가해지면 매듭의 고리가 죄어들기 때문에 몸에 직접 매어서는 안 된다
용도: 로프 끝을 이용해서 고리를 만드는 매듭으로 되감기 8자 매듭과 비슷한 용도로 쓴다. 나무밑둥 등에 자일을 돌려 묶을 때 사용하거나, 선등자나 후등자의 안전벨트에 카라비너로 간단하게 로프를 걸 때 편리하다.
장점: 로프를 당기면 고리가 조여 들고, 풀 때는 고리에서 카라비너를 빼낸 다음 긴 쪽 로프만 당기면 매듭이 저절로 풀리는 특징이 있다. 겨울철 등반을 할 때도 매듭을 쉽게 풀 수 있어 좋다. 또한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주의: 충격이 가해지면 매듭의 고리가 죄어들기 때문에 몸에 직접 매어서는 안된다
또 자기확보줄이 거추장스러워 안전벨트에 연결된 주자일로 직접 자기확보를 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 이 매듭은 양쪽 중 어느쪽 줄을 잡아당겨도 반대쪽 줄이 딸려오지 않는다. 등반 도중에 사용되기도 하므로 한손으로 할 수 있도록 숙달시켜야 한다. 클로브 히치 매듭(Clove hitch knot)이라고도 한다.
용도: 로프나 연결줄(sling) 등을 카라비너, 나무, 바위등에 쉽고 빠르게 걸어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고정을 시킨 다음에도 쉽게 로프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로프를 잠깐 묶어둘 때, 등반자가 자기확보를 할 때 많이 쓰는 방법으로 바위를 잡은 채 다른 손으로 매듭을 할 수 있도록 숙달해야 한다. 후등시 확보시, 짐을 들어 올릴 때 등에 사용된다.
이 매듭은 양쪽 어느쪽 자일을 잡아 당겨도 반대쪽 자일이 딸려오지 않는다.
시골에서 가축을 말뚝에 붙잡아 맬 때 쓰는 매듭과 같다.
21. 프로하스카 매듭(prohaska knot)
장점: 클로브 히치 매듭보다 강도가 뛰어남 장점이 있다.
22. 하네스 루프(harness loop)
23. 터벅 매듭(tarbuck knot)
용도: 줄을 팽팽하게 당겨 맬 때 쓰는 매듭이다.
줄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천막의 버팀줄을 맬 때, 느슨해진 빨래줄을 팽팽하게 당길 때, 현수막을 매달 때, 버팀줄의 길이를 조절할 때 사용한다. 하지만 등반할 때는 사용하지 않는다.
24. 거스 히치(girth hitch)
이 매듭은 나무에 연결줄을 두를 때나 슬링을 안전벨트 걸이에 걸 때, 슬링 두 개를 길게 이을 때와 같이 여러 용도로 많이 쓰이고 있다.
용도: 피톤(바위에 박는 확보물)과 아이스 스크류(얼음에 박는 확보물)들이 완전히 박히지 않았을 때 확보물에 연결줄을(sling) 거는 방법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확보지점을 만들기 위해 나무에 연결줄을(sling) 두를 때, 연결줄을(sling) 안전벨트 장비걸이에 걸 때, 두개의 연결줄을(sling) 길게 이을 때 사용한다.
25. 클로브 히치(clove hitch)
나무나 하켄과 같은 확보물에 거는 매듭이다.
용도: 피톤(바위에 박는 확보물)과 아이스 스크류(얼음에 박는 확보물)들이 완전히 박히지 않았을 때 확보물에 연결줄을(sling) 거는 방법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27. 프루지크 매듭(prusik knot)
수직으로 늘어진 자일에 코드 슬링(프루직)을 두세번 감고 밑으로 잡아당기면 감긴 매듭이 수직 로프에 꽉 물려서 흘러내리지 않고, 반대로 힘을 빼면 매듭이 느슨해져 감긴 슬링을 위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코드 슬링의 굵기는 로프 굵기의 절반 정도가 제일 효과적이다. 코드 슬링이 너무 굵으면 제동이 되지 않아 위험하다. 즉, 주 자일의 굵기가 10mm일 때에는 프루직 슬링의 굵기는 주자일보다 가는 5∼7mm가 적합하며 코드 슬링을 사용해야만 매듭이 가능해진다.
하중을 풀고 손으로 밀면 줄을 따라서 자유스럽게 움직이지만 체중이 걸리면 밑으로 미끄러져 내리지 않는다. 하중이 충격적으로 걸릴 경우 제동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줄이 얼어붙은 상태에서도 제동이 잘 안된다. 등반자가 추락 시 자신을 스스로 구할 수 있으며, 추락한 동료나 짐을 끌어올릴 때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용도: 로프를 이용해 오르내리거나 여러 가지 위험에 대비한 보호장치, 그리고 떨어진 사람을 잠깐 묶어둘 때처럼 특별한 상황에서 요긴하게 사용하는 매듭이다.
매듭 끝의 고리에 무게를 걸면 매듭이 주 로프를 조이거나 꺾어 주 로프에서 움직이지 않고, 무게를 받지 않으면 주 로프의 아래위로 자유롭게 움직인다.
연결줄은(sling) 코드 슬링을 쓰는데, 꼭 로프보다 가는 5~7mm 정도 코드 슬링을 써야 한다. 가늘면 가늘수록 더 안 미끄러지지만 무게가 걸리면 매듭부분이 계속 로프를 조이고 있어 아래위로 움직이기 어렵다.
로프가 얼어 있거나 무거운 무게가 걸릴 때는 연결줄을(sling) 서너 번 이상 돌려야 로프에서 미끄러지지 않는다.
로프에 코드 연결줄(sling) 두개로 프루지쿠 매듭을 하면 로프를 타고 오르내리기 편하다. 위에 있는 프루지크 매듭은 안전벨트에 걸어서 매달리고 아래에 걸어놓은 프루지크 매듭에는 연결줄을(sling) 길게 해서 발에 걸고 일어나면서 안전벨트쪽 프루지크 매듭을 올려 매달리고 다시 발쪽 프루지크 매듭을 올리는 방법을 번갈아 하면서 로프를 타고 올라간다.
그밖에도 초보자가 위험한 곳을 하강할 때 보호 장치로 하강기 위쪽 로프에 걸어 잡고 내려오기도 하고, 떨어진 사람을 묶어둘 때, 구조활동을 할 때도 쓰인다.
하중이 충격적으로 걸릴 경우 제동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줄이 젖거나 얼어붙은 상태에서도 무용지물이다.
카라비너에 롤 슬링이나 테이프 슬링을 걸어 주자일에 돌려주면 되는데, 프루직 매듭보다 매듭을 위아래로 움직이기 쉽고 무게가 걸린 다음에도 매듭이 느슨해진다.
용도: 프루지크 매듭과 같은 용도로 쓴다. 카라비너에 코드 슬링이나 웨빙 슬링을 걸어 주 로프에 돌려주면 되는데. 프루지크 매듭보다 매듭을 위아래로 움직이기가 쉽고 무게가 걸린 다음에도 매듭이 쉽게 느슨해진다.
장점: 다친 사람이 스스로 자기확보를 하면서 오를 때 움직이기 쉽고 편하다는 점과 웨빙 슬링을 쓸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29. 클렘하이스트 매듭(klemheist knot)
프루직 매듭이나 바흐만 매듭과 같은 용도로 쓰이고 위아래로 움직이기가 편하지만 마찰 때문에 연결줄이 많이 상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손으로 조작하기가 어렵긴 하나 감는 횟수에 따라 다양한 마찰을 줄 수 있고, 하중이 걸린 후 프루직 매듭보다 풀기가 쉽다.
용도: 프루지크 매듭이나 바흐만 매듭과 같은 용도로 쓰인다.
장점: 마찰 때문에 연결줄이 많이 상한다는 나쁜점이 있다. 그러나 바흐만 매듭과 같이 프루지크 매듭보다 위아래로 움직이기가 편하다.
클렘하이스트 매듭은 한손으로 조작하기가 어렵긴 하나 감는 횟수에 따라 다양한 마찰을 줄 수 있다. 하중이 걸린 후 프루직 매듭보다 풀기가 쉽다.
30. 뮌터 히치(munter hitch)
뮌터 히치(Munter hitch) 매듭, 또는 하프 크로브 히치 매듭(Half Clove hitch knot)이라고도 한다. 상대방 (특히 후등자)의 확보를 볼 때 많이 사용하며, 이중 자일(두 가닥) 사용 시에는 사용할 수 없다. UIAA에서 공인된 확보용 매듭이다.
용도: 반 카베스통, 또는 하프 클로브 히치, 이탈리안 히치 매듭이라 부르는데 카라비너에서 로프가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매듭이다.
확보기구를(8자 하강기, 듀브 하강기) 준비하지 않았거나 등반하다가 잃어버렸을 경우 확보 방법으로 사용하는데 즉, 선등자와 후등자 확보를 손쉽게 봐줄 수 있는데, 매듭이 카라비너 사이에서 뒤집히면서 등반자의 로프를 풀어주고 당겨주는 것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떨어지는 것을 쉽게 멈추게 할 수도 있다.
확보를 볼 때는 카라비너의 안쪽 폭이 넓은 잠금 카라비너를 써야 매듭을 걸거나 확보를 보기에 안전하고 편하다. 잠금 카라비너를 쓰는 것은 등반자가 떨어질 때 아주 작은 우연으로 매듭이 카라비너에서 빠져 나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 하강기구가 없을 때 하강에도 이용할 수 있지만 마찰열 때문에 로프가 상할 수 있어 비상시외에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추락제동용 매듭
상대방 (특히 후등자)의 빌레이를 볼 때 사용
추락시 모든 추락에너지가 확보지점에 직접 전달되므로 확실한 확보지점이 필요
카라비나의 안전링을 꼭 잠그고 사용
이중로프(두가닥) 사용시에는 사용할 수 없다.
31. 알파인 버터플라이 (Alpine butterfly)
32. 지레 매듭
- 이 매듭은 등반용 매듭법은 아니지만, 알아두면 야외활동에서 매우 재미있는 매듭법이기에 소개합니다. 두가닥의 로프와 통나무 몇개만으로, 그림처럼 매우 간단하게 사다리를 만들 수 있읍니다. (그림은 외줄 사다리이지만 통나무 양쪽으로 두 줄을 매면 더욱 안전하고 훌륭한 사다리가 되겠죠?) 나무를 뽑으면 자동 해체됩니다
매듭 종류에 따라 쓸 수 있는 용도
매듭종류 |
주용도 |
고리를 만들 때 |
로프 끝을 안전벨트에 묶을 때 |
로프 중간을 안전벨트에 묶을 때 |
로프 두줄을 서로 이을 때 |
고정 확보물 에 로프를 묶을 때 |
옭 매듭 |
매듭의 끝처리 |
|
|
|
|
|
고리 옭 매듭 |
고리를 만들 때 |
B |
|
C |
|
|
테이프 매듭 |
웨빙으로 연결줄 만들 때 |
|
|
|
C |
|
사각 매듭 |
등반 외 일상용도 |
|
|
|
|
|
쉬트 매듭 |
굵기가 다른 로프를 연결 |
|
|
|
|
|
아카데미 매듭 |
굵기가 다른 로프를 연결 |
|
|
|
C |
|
이중 피셔맨즈 매듭 |
로프 두줄을 이을 때 |
|
|
|
A |
|
8자 매듭 |
고리를 만들 때 |
A |
|
B |
|
|
되감기 8자 매듭 |
안전벨트에 로프를 연결 로프 두줄을 이을 때 |
|
A |
|
A |
A |
이중 되감기 8자 매듭 |
로프 중간을 안전벨트에 묶을 때 |
|
|
A |
|
|
보울라인 매듭 |
안전벨트에 로프를 연결 |
|
B |
|
|
B |
되감기 보울라인 매듭 |
안전벨트에 로프를 연결 |
|
A |
|
|
A |
이중 보울라인 매듭 |
로프 중간을 안전벨트에 묶을 때 |
|
|
A |
|
|
에반스 매듭 |
안전벨트에 로프를 연결 |
C |
C |
|
|
|
클로브 히치 |
로프를 카라비너에 걸 때 |
C |
|
|
|
|
프로하스카 매듭 |
로프를 카라비너에 걸 때 |
C |
|
|
|
|
하네스 루프 |
손쉬운 고리 매듭 용도 |
C |
|
|
|
|
터벅 매듭 |
천막 버팀줄 조절 매듭 |
|
|
|
|
|
거스 히치 오버핸드 슬립 클로브 히치 |
연결줄을 나무나 피톤에 걸 때 |
|
|
|
|
|
프루지크 매듭 바흐만 매듭 클렘하이스트매듭 |
주 로프에 매달려 오르내릴 때 비상시 확보, 고정용 |
|
|
|
|
|
뮌턴 히치 = 반까베스땅 = 하프 클로브 히치 |
등반자 확보 보기 |
|
|
|
|
|
매듭 강도
매듭을 하지 않은 상태 100%
8자 매듭 75~80%
보울라인 매듭 70~75%
이중 피셔맨즈 매듭 65~70%
피셔맨즈 매듭 60~65%
테이프 매듭 60~70%
클로브 하치 60~65%
옭 매듭 60~65%